사회일반

[강원 또 초대형 산불]초기 대응 효과 큰 ‘마을 비상소화장치' 국비 요청 2년째 묵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동해안 대형 산불 발생 나흘째인 7일 동해시 묵호진동에서 동해시 관계자들이 화재 피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동해=권태명기자

도 2,180개 마을 설치 건의에

1,360여 마을 아직 지원 안돼

컨트롤타워 건립 예산도 거절

속보=강릉·동해, 삼척 산불의 민가 확산 당시 마을 비상소화장치가 인명피해를 막는 마지막 보루 역할(본보 7일자 2면 보도)을 했으나 정부는 강원도의 동해안 산림 인근 마을 비상소화장치 설치 지원 요청을 2년여간 묵살하고 있다. 대형 산불 예방에 대한 정부의 인색한 투자가 매년 반복되는 피해의 원인 중 하나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지난 4일 경북 울진에서 시작된 산불이 삼척 원덕읍 월천리, 산양리, 노경리, 사곡리로 근접하자 마을 주민들은 2020년 설치한 비상소화장치로 진화작업에 나서 민가 확산을 막았다.

5일 강릉 옥계 산불이 옮겨붙은 동해시 승지골 역시 주민들이 비상소화장치로 사투를 벌여 최악의 피해를 면했다. 인명피해를 막은 동해와 삼척의 마을 비상소화장치는 2019년 고성·속초 산불 이후 초동조치를 위해 확충된 시설로 이번에 또 다시 효과를 입증했다. 그러나 확실한 산불 초기 진화 효과에도 불구하고 마을 비상소화장치의 확충은 더디기만 하다.

강원도는 2019년 고성·속초 산불 피해 이후 정부에 ‘산림인접마을 비상소화장치 설치'사업의 국비 지원을 건의했다. 동해안 산림에 자리잡은 마을 2,180곳에 마을 비상소화장치를 설치하는데 288억원이 소요돼 국비 144억원을 지원해달라는 요청이었다. 이에 2020년 정부는 추경을 통해 국비 35억원을 긴급 지원했고 동해안 마을 820여곳에 비상소화장치가 설치됐다. 아직 1,360개 마을에 추가 설치가 필요하지만 2021년과 올해 2년 연속 국비 지원이 끊기면서 사실상 사업이 중단됐다.

또 산불 발생 시 현장지휘의 혼란을 막고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동해안 통합지휘조정통제센터 건립사업(총사업비 199억원, 국비 45억원)도 지난해와 올해 2년 연속 정부 예산안에 반영되지 못했다.

강원도 관계자는 “산불대응 국책사업을 추가 발굴하고 정부에 더 많은 투자와 지원을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최기영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