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중언]훈민정음 정신
“나·랏 :말ᄊᆞ·미 中듕國·귁·에 달·아 文문字·ᄍᆞᆼ·와·로 서르 ᄉᆞᄆᆞᆺ·디 아니ᄒᆞᆯ·ᄊᆡ(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로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579돌 한글날(10월9일)을 맞아, 세종의 간절한 마음이 담...
2025-10-10 00:00:00
-
[언중언] 추석 단상(斷想)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 연휴가 다가온다. 아직 연휴가 시작되지도 않았는데 벌써부터 인천국제공항과 국내 주요 공항에는 사람이 몰리고 있다. 이미 6개월 전부터 일본, 중국, 홍콩, 마카오 등을 비롯, 동남아 ...
2025-10-02 00:00:00
-
[언중언]시절인연(時節因緣)
교실에서 가장 먼저 전해지는 건 책 속 지식이 아닌 스승의 눈빛이다. 그 눈빛 속에 담긴 따뜻함과 존중, 혹은 무심함은 교육에 대한 첫인상이 된다. 아이들은 교과서의 문장을 읽기 전에 스승이 자신을 어떤 시...
2025-10-01 00:00:00
-
[언중언] 기술 진보의 그림자
한 통의 전화가 삶에 균열을 만든다. 낯선 목소리가 자식의 이름을 불러대고 경찰을 사칭하며 돈을 요구하는 순간 노인의 가슴은 휘청거린다. 믿음과 정이 무기처럼 악용되는 이 범죄는 기술의 진보가 만든 또 ...
2025-09-30 00:00:00
-
[언중언]세계 평화
인류가 가장 보편적으로 추구해 온 가치를 한 가지 꼽는다면 단연 ‘세계 평화’이다. 인류는 이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쳐 왔다. 그럼에도 전쟁과 분쟁은 멈추지 않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
2025-09-29 00:00:00
-
[언중언]양양 송이축제와 연어축제
서로 다른 두 축제를 하나로 묶어 통합해 개최하는 경우를 가끔 본다. 이때 주최 측에서 명분으로 내세우는 것이 시너지효과를 내겠다는 것이다. 시너지효과는 우리말로 상승효과 또는 협력작용 등으로 바꿀 수 ...
2025-09-26 00:00:00
-
[언중언]강원학사 반세기
서울 변두리 관악산 자락에 둥지를 틀었던 강원학사가 지난 20일 50주년 기념식을 갖고 반세기의 발자취를 돌아보며 새 출발을 선언했다. 1970년대, ‘전국 최초의 재경 기숙시설’이라는 이름표는 지방 학생들에...
2025-09-25 00:00:00
-
[언중언]‘님의 침묵’ 100년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중략)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제 곡조를 못 이기는 사랑의 노래는 님의 침묵을 휩싸고 돕니다.”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
2025-09-24 00:00:00
-
[언중언]사내초교 100주년
화천에 근대교육이 본격화된 것은 3·1운동이 조선 교육정책의 전환점이 되면서부터다. 1922년 일제가 제2차 개정교육령을 시행, 학교교육의 질과 양이 확대됐다. 이로 인해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순수 조선...
2025-09-23 00:00:00
-
[언중언]신흥사 템플스테이
사람이 사람을 만난다는 건 언제나 기적에 가깝다. 특히 저출생과 고립이 일상이 된 사회에서 인연이란 더는 당연한 것이 아니다. 속초 신흥사에서 지난 13일부터 14일까지 열린 ‘템플스테이’가 역대 최고 경쟁...
2025-09-22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