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코로나 영업중단 조치 장기화에 자영업자들 집회 나선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빚 쌓이는데 폐업조차 맘대로 못해” 한계상황 호소

유흥주점 업주들 형평성 문제 제기 22일 단체행동

속보=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장기화되면서 자영업자들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5인 이상 식당 이용 금지 등의 조치가 오는 31일까지 한 달 넘게 이어지게 된 데다 설 연휴에는 특별방역대책이 시행될 것으로 보여 자영업자들이 한계 상황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강원도 내 유흥주점 업주들은 영업 제한 조치의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며 22일 집회(본보 지난 19일자 5면 보도)에 나서기로 하는 등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다.

춘천시 퇴계동의 한 고깃집은 당초 저녁에만 영업했지만 최근 거리두기가 장기화되면서 점심 영업도 시작했다. 점심시간에는 손님 한두팀을 받는 것이 고작이지만 월 임대료라도 벌기 위해선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사장 A씨는 “고깃집은 저녁 장사가 중요하지만 밤 9시까지만 영업이 가능하다 보니 오후 8시 이후로는 손님이 없다”며 “지금까지는 간신히 버텨내고 있지만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조치가 더 길어진다면 버티기 힘든 상황을 맞게 될 것 같다”고 토로했다.

힘겨운 상황이지만 폐업조차 쉽지 않다. 지난달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강원도에서 2년째 자영업을 하고 있다는 청원인의 글이 올라왔다.

청원인은 “소상공인 코로나 대출을 받아 버텨 나가고 있었지만 코로나19가 1년 가까이 지속되면서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폐업을 하게 되면 코로나 대출금을 일시 상환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이마저도 쉽게 결정할 수 없다. 소상공인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분할 상환할 수 있게 해달라”고 호소했다.

일부 자영업자는 방역지침 위반 시 업주들의 피해가 더 커지는 만큼 5인 이상 방문 자제를 호소하고 있다. 5인 이상 방문 등 방역수칙을 위반할 경우 손님들은 1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지만 업주들에게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기 때문이다.

도내 유흥업소 업주들도 어려움을 호소하고 나섰다. 폐업을 한 뒤 다시 영업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개정된 소방법에 따라 시설을 재정비해야 하는데 비용이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1억원 이상 소요되기 때문이다.

이수용 한국유흥음식점중앙회 강원도지회장은 “이 같은 이유로 폐업을 하지 못하고 장기휴업을 하고 있는 업소가 많다”며 “수익은 없는데 월 임대료는 매달 납부해야 하니 빚으로 버텨 가는 매우 힘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유흥음식점중앙회 강원도지회는 영업제한 조치가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지적하면서 22일 오후 1시 강원도청 앞 집회를 경찰에 신고했다.

권순찬기자 sckwon@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