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이란 계절이 없어질까 두려울 만큼 날씨가 매우 덥다.
화창한 날씨는 많은 사람을 바깥으로 부르고 신체 활동도 많아지지만 항상 과한 것은 탈을 일으키곤 한다. 너무 덥거나, 너무 땀을 많이 흘렸거나 더운 곳에서 오랫동안 머물렀거나, 과도한 신체 활동은 인체에 잘못됐다는 신호를 보낸다. 요즘 같이 무더운 날씨에는 특히 주의해야 할 질환이 많다.
고온으로 인한 질환은 정도 및 증상에 따라 열부종, 열경련, 열실신, 열탈진, 열사병으로 나뉜다.
열부종은 발과 발목, 손 부위 등이 붓는 질환을 말한다. 고온으로 인해 피부의 혈관이 확장되고 간질액이 주로 아래로 향하는 인체 부위에 고여 생긴다. 고온을 피하고 붓기가 있는 부위를 위쪽으로 향하게 올려 대처할 수 있다.
열경련은 고온에 노출 후 심한 근육통을 호소하는 것이다. 땀을 많이 흘리고 난 후 소금기가 없는 물을 많이 마시면 생길 수 있다. 땀은 물과 소금기가 같이 배출되는 것인데 물만 보충되면 전해질 장애가 일어나 근육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열경련 증상이 나타난다면 서늘한 곳에서 쉬면서 이온 음료수를 마시는 것이 좋다.
열실신은 눕거나 앉았다 일어날 때 어지럼증을 호소하거나 잠깐 동안 의식을 잃는 것을 말한다. 땀을 너무 많이 흘려 혈압이 일시적으로 떨어져 발생한다. 서늘한 곳에서 쉬면서 수분 보충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열탈진은 고온에서 오랫동안 과도한 신체활동을 해 수분과 전해질이 심한 손실을 입어 생긴다. 두통, 어지럼증, 구토, 빈맥, 저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앞선 열 손상 질환보다 더 심한 증세로, 열사병까지 진행될 수 있어 병원 치료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열사병은 심각한 고온 손상으로 의식 저하가 일어나고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을 말한다. 고온이 몸 전체에 영향을 줘 다발성 장기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만일 고온에서 의식저하가 생길 경우 병원으로 빨리 옮겨야 한다.
무더운 여름 야외에서의 과도한 신체활동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신체활동 중 몸에 조금이라도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그늘에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열 손상 질환의 예방법이다. 현명하고 지혜로운 여름 나기로 더욱 무더워진 여름을 건강하게 보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