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춘천, 속초를 잇는 동서고속화철도 사업 추진 확정으로 도내 경제계는 지역경제 발전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며 축제 분위기에 휩싸였다.
김대호 도상공회의소협의회장은 10일 “도의 운명을 바꿀 동서고속화철도 사업 추진이 확정된 만큼 도 및 각 지자체, 경제계에서 지역경제 발전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정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동서고속화철도 건설에 따라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강원 영서북부지역 발전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도내 경제계에서는 영서북부의 경우 교통 인프라 부족으로 기업여건이 뒤떨어져 외지기업 유치 등에 어려움을 겪었던 만큼 동서고속화철도 개통으로 지역불균형이 급격히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동환 도농공단지협의회장은 “영서북부는 우수한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기업 입지조건이 좋은데도 교통 인프라가 발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어 왔는데 동서고속화철도 사업 추진이 확정돼 기업 유치에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돈진 중소기업중앙회 강원지역회장은 “동서고속화철도 개통으로 열악했던 도내 철도교통망이 해결돼 강원경제 발전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며 “물류비 감소와 인구 유입에 따른 고용문제 해결로 지역에 기업유치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동서고속화철도가 반드시 국가재정사업으로 개통돼야 하고 개통에 따른 공동화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도내 한 경제단체장은 “동서고속화철도가 민자로 건설될 경우 이용자 부담이 늘어나는 등 부정적인 면도 발생하는 만큼 국가재정사업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보경기자 bkk@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