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속초 동서고속화철도 사업은 무려 5명의 대통령으로부터 외면받았다. 6번째로 대선 공약을 내놓은 박근혜 대통령이 결국 임기 내에 도민과의 약속을 지켰다.
청사진은 1987년 노태우 대통령이 먼저 내놨다. 도내 북부권의 영서와 영동을 연결하는 교통망을 구축하겠다며 표를 호소했다. 1992년 김영삼 대통령도 똑같이 약속했다. 도민들은 대형 사업인 만큼 인내심을 갖고 4년을 더 기다렸다. 이때까지만 해도 해당 사업이 30년을 끌 것이라고 생각하는 도민은 별로 없었다.
하지만 이후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에서 이어진 3차례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연이어 고배를 마시며 도민들의 분노도 증폭됐다.
예비타당성 조사는 2001년과 2010년, 2012년에 이뤄졌으나 모두 경제성에 발목 잡혔다. 인구가 적어 투자 대비 경제적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였다.
도는 끈질기게 정부에 매달렸다.
경기침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민들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였기 때문이다. 마지막 예비타당성 조사가 이뤄진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 대통령 후보는 다시 해묵은 이 공약을 꺼내 들었다. 도민들은 이에 절대적인 지지를 보냈다. 취임 직후 박 대통령은 동서고속화철도 사업 추진을 천명했지만 좀처럼 진척이 없었다. 결국 도민들이 머리에 띠를 두르고 상경 시위에 나섰다. 지난해부터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과 세종정부청사를 찾아 연일 약속을 이행하라며 집회를 갖고 정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여 나갔다. 김동일 도의장은 “도민들의 오랜 염원이 이뤄져 매우 기쁘다”며 “조기 완공을 위해 앞으로도 계속 관심을 갖고 적극 나서겠다”고 했다.
원선영기자 haru@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