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회 흥행 성공 못하면 사후관리 막대한 비용 부담
알펜시아·양양국제공항·경자구역 안착과도 밀접
올림픽 성공 개최 위해 예산 등 국가지원이 핵심
새 정부 출범 후 대회지원위원회 대통령 직속 격상
올림픽 레거시 창출 위한 대회시설 국가관리 당부
■평창동계올림픽과 강원도=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강원도를 바라보는 외부의 시선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동계올림픽 성공 개최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의 기대감과 함께 올림픽 이후 대회시설의 사후활용에 대한 우려가 상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광을 주력산업으로 삼고 있는 도가 올림픽 성공으로 시너지효과를 낼 경우 글로벌 관광지로서 지속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대회 준비 과정에서 교통망 확충으로 인한 땅값 상승 등 부동산 특수 등이 이를 반영한다.
하지만 올림픽이 흥행 면에서 성공하지 못하고 신설 경기장 시설의 사후관리로 인해 막대한 비용을 부담하게 되면 얘기가 달라진다.도가 열악한 재정상황에도 불구하고 대회 준비를 위해 발행한 3,000억원 규모의 지방채도 문제다. 평창 알펜시아리조트 정상화와 양양국제공항 활성화,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의 성공 안착도 평창올림픽 성공 여부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국가지원이 핵심=도는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새정부가 평창올림픽을 제1 국정과제로 선정해 올림픽 관련 예산 및 법적 지원시스템을 대폭 강화해 달라는 입장이다. 새정부 출범 직후 대회지원위원회를 대통령 직속으로 격상, 국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 국민대통합의 축제로 승화시켜 달라고 건의했다. 최근 국정농단 사태로 인한 국민의 상실감과 좌절을 올림픽을 통해 치유하고 통합하는 계기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미다. 평창올림픽 북한 선수단 참여와 남북공동응원단 구성 등 평창올림픽을 통해 전 세계에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내용도 담겼다. 아울러 올림픽을 계기로 창출된 값진 유·무형 자산들이 올림픽 레거시(Legacy)로 지속 발전할 수 있도록 올림픽 대회시설의 국가관리를 당부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평창올림픽을 새 정부 국정 1과제로 삼고 경기장의 사후활용 문제도 정부가 관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대회시설에 대한 국가 관리와 함께 도를 동계스포츠 거점도시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국토 균형발전 차원에서 동계올림픽 경기장 활용방안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정부 역할을 강조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올림픽 성공 개최와 사후관리를 위한 국가지원 시스템을 강조했고, 정의당 심상정 후보 역시 경기장 사후관리를 위해 정부의 주도적 참여를 약속했다. 이와 관련, 도 정치권은 19대 국회에 이어 20대 국회 들어서도 동계올림픽 시설 국가 관리를 위한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부처 간 이견으로 상임위 문턱을 못 넘고 있는 상태다.
이성현기자 sunny@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