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문화재로 보는 우리 역사]조선 최고 초상화 화가 그린 흔들림 없는 노학자의 풍채

25. 삼척부사 미수 허목 초상

이혜경 국립춘천박물관 학예연구사

백발이 성성한 여든 노인이 검은색 사모에 담홍포를 입고 앉아 있다. 가슴팍까지 내려온 수염이 바람에 날리는 듯하나, 앞을 응시하는 시선은 한 치의 흔들림이 없다. 조선의 대표적인 유학자 미수(眉?) 허목(許穆·1595~1682년)의 82세 때 모습을 그린 초상화다. 돌아가신 후 100여 년이 지나 조선의 초상화 명수로 이름을 떨쳤던 이명기(李命基·1756~?)가 정조(正祖)의 명을 받아 다시 그린 것이다.

조선 후기의 문예 부흥기를 이끌었던 왕 정조는 오랫동안 미수 허목을 존경하고 흠모했다. 1794년 어느 날, 정조가 영의정 채제공(蔡濟恭·1720~1799년)에게 허목의 초상을 구해보라 명하자, 그는 경기도 연천의 미수의 고택 은거당(恩居堂)에 있던 82세 때의 초상을 받들어 가지고 왔다. 정조는 이명기에게 그 그림을 그대로 따라 그리게 하여 궁궐에 두게 하고, 가져온 그림은 원래의 장소가 아닌 조선 유학의 중심지였던 영남의 순흥(順興) 백운동(白雲洞) 서원(소수서원)으로 내려보냈다. 정조와 대신들은 허목의 초상화를 공자와 그 제자들, 주세붕 등의 영정이 모셔진 곳으로 보내게 된 것을 기뻐하며, 천하(중국)의 유학은 쇠퇴하였지만, 유학의 도통이 조선에 있다면서 크게 의미를 두었다. 허목은 은사(隱士)의 삶을 살다 56세 때 처음으로 정릉 참봉에 제수되었고, 후에 우의정까지 지냈다. 66세 되던 1660년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삼척부사로 좌천되어 오면서 강원도와 인연을 맺었다. 그는 나이와 상황을 탓하지 않고, 목민(牧民)에 힘썼는데, 대표적인 업적이 삼척 최초의 사찬 지리지인 '척주지(陟州誌)'를 편찬했던 일이다. 그는 학문과 서법을 연구할 때 원류와 근거를 천착했다. 주자 성리학이 성행했던 17세기에 공자와 맹자 시대의 유학인 원시유학과 도교, 불교까지 섭렵하며 독자적인 학문 경지를 개척했으며, 고대 서체인 전서체(篆書體)에 몰두하여 그만의 글씨체를 완성했다. 초상화 속 허목의 모습은 평생 소홀함 없이 학문을 연마하고, 관직 생활을 했던 노학자의 풍모를 그대로 보여준다.

관련기사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