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사고

초접전 대선 선관위 투·개표 관리 도마 위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각종 문제 불거져

사전투표자에 용지 또 주고

동해 개표중 분류기 오류도

속보=제20대 대통령선거는 막을 내렸으나 선거관리위원회의 투·개표 관리 개선 문제(본보 9일자 인터넷·10일자 17면 보도)는 과제로 남았다. 역대급 초접전 경쟁이 벌어져 모두 민감한 데다 코로나19 확진자까지 급증하는 배경 속에 진행된 투·개표 현장 곳곳에선 각종 문제가 불거졌다.

춘천에서는 사전투표를 마친 유권자가 지난 9일 본 투표소에서 투표용지를 또 받는 일이 발생했다. 70대 A씨는 이날 오전 춘천 중앙초교에 마련된 소양동 제3투표소에서 신분증을 제시하고 투표용지를 받았다. 본투표소 관리가 제대로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방문했다는 그는 투표용지를 받는 즉시 항의하면서 “부정선거가 이뤄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경찰에 신고했다. 춘천시선관위는 A씨를 공직선거법 제163조(투표소 등 출입제한)·제248조(사위투표죄) 등 위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지난 5일 사전투표 때는 확진·격리자가 기표한 투표용지를 투표사무원이 수거해 소쿠리, 비닐봉지 등에 담아 투표함으로 운반, 관리 부실 논란이 일었다. 유권자들은 물론 법조계에서도 “직접·비밀투표 원칙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제기되며 큰 혼란이 일자 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은 공식 사과에서 “미흡했다”며 고개를 숙였다.

강릉에서는 시각장애 1급인 B씨가 사전투표소를 찾아 투표 점자 보조기가 준비돼 있지 않아 투표를 포기하고 돌아가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개표 관리도 매끄럽지 못했다. 동해체육관 개표소에서는 자동분류기 6대가 오류를 일으키며 삼화동·묵호동표 150여장이 뒤섞였다. 자동분류기가 순차적으로 오류를 일으키자 현장에 있던 개표참관인들은 유효표에 대한 신뢰성 문제를 제기했다.

한편 사전투표소 투표 사무원이 낀 장갑의 색깔도 논란이 됐다. 도내 196개 사전투표소 투표사무원이 특정 정당을 상징하는 파란색의 라텍스 장갑을 착용하자 유권자들에게 항의하는 일도 있었다. 강원도선관위는 즉시 투명한 비닐장갑으로 교체했고, 사용하지 않은 파란색 라텍스 장갑 처리 방식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이하늘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