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강원 또 초대형 산불]입산자 실화·담뱃불·방화 원인…10건중 8건 피할 수 있었던 참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집중기획 / 반복되는 대형산불, 무엇이 문제인가 (1)자연보다 인위적 요인 커

도내 25년간 31건 분석 결과

26건이 사전통제 가능한 원인

2017년 이후 발생 빈도 급증

“대응체계 종합적 점검해야”

강원도가 사회재난인 ‘대형산불' 위험에 속수무책으로 노출돼 있다. 산림보호법에 따르면 대형산불은 산림 피해면적이 100㏊ 이상이거나 24시간 이상 지속된 산불을 의미한다. 지난 4일부터 강릉·동해·삼척·영월 등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의 피해면적은 5,310㏊(잠정)로 2000년 동해안 산불(2만3,794㏊) 이후 최대 규모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것도 이번이 5번째(2000년·2005년·2019년·2022년 3월6일, 8일)다. 본지는 강원도 대형산불의 원인과 대응체계의 문제점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최근 25년간 강원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10건 중 8.4건은 사람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간지풍과 가뭄 등 자연적인 요인에 앞서 인위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인재(人災)'였다.

본지가 강원도산불방지대책본부를 통해 확보한 최근 25년간(1998~2022년) 강원도 대형산불 31건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84%(26건)가 사전에 통제가 가능한 원인이었다.‘입산자 실화(추정 포함)'가 8건으로 가장 많았고, 폐기물 소각이 6건, 전기류 문제 5건, 담뱃불 실화(추정 포함) 3건, 방화(추정 포함) 2건, 건축물 화재 2건 등이었다. 그 밖에 북한에서 남하가 3건, 원인 미상 2건 등이었다.

강원도 대형산불은 ‘봄철 동해안 산불'로 봐도 무방할 만큼 같은 시기, 같은 지역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했다. 25년간 발생한 대형산불의 87%(27건)는 동해안 시·군에서 발생했고, 발생시기도 ‘3~5월'이 87%를 차지했다. 옥계면의 경우 이번이 4번째(2004년·2017년·2019년·2022년) 대형산불이었다.

심각한 것은 발생 빈도가 2017년 이후 눈에 띄게 잦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25년간 연도별 발생 건수를 보면 1998~2005년 17건이 발생한 이후 2006~2016년까지는 대형 산불이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2017~2022년 중 한해(2021년)만 제외하고 해마다 발생했다. 특히 2018년 이후부터는 ‘건축물 화재'로 인한 대형산불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김경남 강원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19년(고성·속초)에 산불이 도시로 확산돼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는 것을 알았음에도 같은 재난이 또 반복됐다”며 “충분한 대응체계를 갖췄는지 종합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하림·권순찬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