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년 전 화마에도 소나무 식재
강릉 주민들 “불에 취약” 반발
관광인프라 산지 개발 주장도
강릉시 “타 수종 조림 어려워”
2019년 대형 산불로 쑥대밭이 돼 소나무 위주의 조림사업이 진행된 강릉시 옥계면 일대가 이번에 더 큰 산불 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지역 주민들은 산불에 취약한 소나무를 대체할 수종과 함께 산지에 대한 규제를 풀고 민자를 유치해 관광인프라를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8일 강릉시와 지역 주민들에 따르면 2019년 옥계 산불 발생 이후 986㏊의 피해림에 대한 조림사업을 추진하면서 전체의 70%에 해당하는 105만여그루를 소나무로 심었다. 당시에도 수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대두됐지만 용역 결과 소나무가 동해안의 토양과 기후 특성에 적합한 수종이라는 평가에 따른 조치였다고 시는 밝혔다.
그러나 주민들은 인화성이 강해 산불이 나면 생가지와 잎에도 쉽게 불이 붙는 소나무에 이제는 노이로제가 생길 지경이라며 강한 거부감을 표출하고 있다. 김기영 강릉시의원은 “산불 피해 지역에 종전과 같은 소나무 위주의 조림보다는 자작나무 등 활엽수나 억새 등을 식재해 새로운 관광 자원으로 가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문근 옥계면 번영회장은 “연례 반복적인 산불 피해를 막고 낙후된 지역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산지 개발 등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옥계 산불 진화작업이 끝나고 이재민 대책 등 응급 조치가 어느 정도 마련되면 번영회 차원에서 관광단지 조성 등 산불 피해림에 대한 전반적인 건의를 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강릉시는 “주민들의 입장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3년 전에도 산림 복구 과정에서 산림청 등과 함께 진행한 적합 수종 선정을 위한 용역 결과 다른 나무는 우리 지역 토양과 기후에서 잘 자라기 힘들어 소나무 위주의 조림을 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과감한 산지 개발 요구에 대해서는 “전체 피해 면적의 절반가량이 국유림이고 사유림 비중도 커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향후 주민 의견을 수렴해 중앙부처, 도와 함께 해법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강릉=김도균·고달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