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한 지출에도 지원 부족
중대본 “추후 산정해 보상”
코로나19가 빠른 속도로 재확산되고 있으나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지원이 부실해 효율적인 방역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특히 강원도 내 5개 의료원은 코로나19 환자 진료와 검사를 전담하면서 오히려 부채가 늘어나는 등 재정난이 심화되고 있다.
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강릉·원주·속초·삼척·영월의료원의 부채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약 20억원 증가한 659억6,000만원에 이른다. 올 2월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후 병상 일부를 비우고 코로나19 치료에 나섰던 점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7월31일까지 도내 5개 의료원을 비롯해 코로나19 환자를 검사·진료한 각 지역 병원에 4차 손실보상금을 지원했지만 아직까지 지급을 마치지 못했다. 특히 건강검진 수검자가 큰 폭으로 감소했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보상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병상에 대한 보상금액도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원주의료원의 경우 의료원 측에서 계산한 병상 1개당 손실비용은 24만원이지만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부터 받은 금액은 19만8,000원에 불과하다.
중환자 치료병원인 강원대병원은 2억여원의 보상을 받았음에도 불구, 중증환자를 감당하기 위해 막대한 지출이 계속되고 있어 추가 지원이 시급한 실정이다. 선별진료소를 만들어 검사와 치료에 협력한 각 지역 병원에서도 손실보상 기준을 제대로 공지받지 못해 혼란과 재정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홍천, 철원, 양구 등 지역 내에 종합병원 기능을 수행하는 의료기관이 없거나 의료취약지의 경우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재정 여건이 열악한 민간 의료기관이 공공보건의료 업무를 맡아 볼 수밖에 없지만 이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무영 원주의료원 총무팀장은 “신종플루와 메르스 확산 시기에도 지금까지 제대로 된 보상이 이뤄진 적은 없다”며 “경영상 어려움을 체계적으로 분석, 보상하지 않고는 반복되는 공중보건 위기에 대응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토로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부대사업 손실 등은 추후 산정을 통해 별도 보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박서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