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인용한 4일 오전 11시22분, 강원도 주민들은 대체로 “더 나은 대한민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는 반응을 내놨다. 지역별 주민들은 대통령 파면이라는 중대 사태를 엄중하게 받아들이면서도, “이제는 분열이 아닌 통합으로, 혼란이 아닌 안정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현행 권력구조는 대통령 1인의 판단에 나라 전체가 흔들리는 구조”라며 “지속 가능한 민주주의를 위해 책임총리제나 이원집정부제 등 다양한 개헌 모델을 국민과 함께 논의할 시점”이라는 지적도 제기돼, 제왕적 대통령제를 극복하고 새로운 체제로 나아가는 방향의 개헌 필요성에 힘을 실었다.
도민들은 경제 회복과 국민 통합, 그리고 시대 변화에 맞춘 개헌 논의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이번 결정을 계기로 국가가 ‘재도약’의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광만 춘천상공회의소 회장은 “최근 미국발 관세 폭탄 등으로 세계경제가 불안정한 가운데, 이제는 국내 정치적 혼란에 휘둘리지 말고 기업인들이 흔들림 없이 본연의 업무에 전념해야 한다”며 “정치권도 더 이상 분열하지 말고, 소통과 화합을 통해 경제 회복에 최우선을 두어야 한다”고 말했다.
안순기 양구군번영회장은 “정치권이 서로를 탓할 때가 아니라, 국민의 삶을 돌아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극단적인 갈등보다는 포용과 협치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홍진원 강릉시민행동 사무국장은 “이번 결정은 특정 정치인 한 명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정치 전반에 경고등이 켜졌다는 의미”라며 “청년 세대는 이제 기득권 정치가 아닌, 미래 정치로 향하는 길을 열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일각에서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존중하지만, 앞으로의 후속 절차와 국정 공백에 대비가 필요하다”는 신중론도 나왔다. 최지용(34·춘천)씨는 “탄핵 이후의 공백과 혼란을 최소화하려면 초당적 협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