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초점]강릉 가뭄, 기후변화 시대의 경고
강릉은 올해 유례없는 가뭄으로 극심한 어려움에 직면했다. 동해안의 대표 도시 강릉이 이토록 심각한 물 부족 상황을 겪는 것은 단순한 지역적 기상이변이 아니라, 기후변화가 우리의 일상과 생존을 직접적으...
2025-09-09 13:22:55
-
[강원포럼] 도시재생 혁신지구 선정: 시민과 함께 이룬 캠프페이지의 재탄생
드디어, 우리 춘천이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 혁신지구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 모든 것은 춘천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고, 아낌없는 성원과 지지를 보내주신 시민 모두의 성과다.
캠프페이지는 미래세대를 ...
2025-09-09 00:00:00
-
[발언대]도암댐은 말이 없다
농경이 주였던 우리 민족에게 젖줄의 근원인 물은 생명의 원천이나 다름이 없다. 대관령과 삽당령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남대천은 강릉시민의 젖줄이자 생명의 원천이다.
남대천은 강릉지방 인물 배출과도 깊은...
2025-09-07 13:19:38
-
[월요칼럼]철원, '여기저기 페스티벌'에서 미래를 찾다
강원 지역의 관광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인구 감소 문제, 및 주요 석탄광산 폐광, 특히 국방개혁으로 인한 군인 인구 급감 및 그로 인한 지역 상권 붕괴라는 절박한 상황 속에서 중요하게 부상하고 있다. 이를 ...
2025-09-07 11:51:10
-
[더초점]“삼척–강릉 고속화 철도, 특별한 희생에 대한 첫번째 보답이어야 한다”
삼척이 있었기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다.
석탄으로 불을 밝히고, 시멘트로 건물을 올리며 산업화를 이끈 곳, 바로 삼척이다. 수많은 노동자와 가족들의 땀과 눈물이 국가 발전의 토대가 되었고, 그 희생 위에 ...
2025-09-04 16:49:30
-
[춘추칼럼] 흐느끼는 돌과 ‘먼 곳’에 대하여
사람은 참 이상하기도 하지. 죽어본 적도 없는데, 죽음을 아는 것은 이상한 일이다. 사람은 태어난 순간부터 시간의 흐름을 타고 생성과 변형이 반복하는 격류에 휩쓸린다. 우리는 좋든 싫든 우주의 소용돌이로 ...
2025-09-04 15:56:27
-
[발언대]국민관광지 팔봉산의 역사문화적 가치 재평가돼야
홍천 팔봉산은 관광 및 민속 부분에 관한 자료는 풍부하지만 역사적 고증 자료는 찿아 볼 수 없다. 그러나 최근 연구를 통해 팔봉산이 역사적으로 중요한 유산을 간직하고 있음이 밝혀져 수려한 경관을 통한 국...
2025-09-04 13:36:52
-
[강원포럼]‘1억5천 평창 플랜’
늦여름의 하늘이 올해 유난히 높고 파랗구나 싶다가, 문득 5월의 평창 하늘이 떠올랐다. 그날은 ‘엄마, 아빠, 선생님’을 부르는 소리를 가장 많이 들은 듯하다. 재잘거리는 말소리, 떠나갈 듯한 웃음과 함성이 ...
2025-09-04 00:00:00
-
[법정칼럼]재범의 위험성, 치료의 필요성
혹시 ‘치료감호’에 관해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형사재판을 하다보면 간혹 처벌보다 치료가 더 필요해 보이는 피고인들을 마주할 때가 있습니다. 가령 조현병 같은 정신질환의 영향으로 범죄를 저지른 경우 ...
2025-09-03 00:00:00
-
[확대경]농촌유학의 그늘진 현실
“학원 압박을 잠시 내려놓고 자연 속에서 함께 뛰놀며 감수성을 회복합니다. 도시 생활에 지친 아이들에게 활력을 불어넣고, 평생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 줍니다. 필요 경비는 강원도교육청에서 지원합니다.” ...
2025-09-02 13:3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