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검색량 등 공표 제한 없어
洪·安 모두 “文과 양강구도” 주장
부정적 이슈까지 포함돼 '진실공방'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론 분석이 '깜깜이 국면'에 접어든 '5·9 장미대선'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빅데이터는 여론조사에 해당하지 않아 공표에 제한이 없다 보니 선거 여론전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치열한 2위 경쟁을 펼치고 있는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간 빅데이터 '여론전'이 활발하다.
한국당 정우택 상임 중앙선거대책위원장은 4일 선대위 회의에서 “지난 미국 대선 결과를 정확히 예측한 구글트렌드(빅데이터 분석 도구)에서 이미 1주일 때 (홍 후보가) 1등이고 어제 그 격차가 더 벌어졌다”며 선거 당일 '막판 역전승'을 주장했다.
앞서 홍 후보가 대선주자 TV토론회, 유세장소 등에서 이슈를 생산해 내면서 여론의 관심이 늘어나자 한국당은 구글트렌드 또는 페이스북 등을 통한 여론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선거전략을 바꿨다.
국민의당은 최근 각종 여론조사 결과, 지지율이 급격히 빠지는 안 후보의 지지층을 단속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지난달 말부터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통해 안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간 양강체제에 변함이 없다는 판세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검색 결과가 순간적으로 높아졌다고 해서 긍정적 결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부정적인 이슈로도 검색어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각자 유리한 분석 결과를 내놓다 보니 빅데이터 여론전이 대선 후보 진영 간 '가짜뉴스' 공방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실제 지난 2일 문 후보 측 윤관석 공보단장은 안 후보가 문 후보를 앞서고 있다며 4월 말 발표한 국민의당의 분석을 거짓 주장이라고 공격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당 측도 반발하며 양측 간 설전이 벌어졌다.
앞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후보자의 호감도와 지지도 등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언론에 보도되는 과정에서 자칫 선거여론조사로 오인될 우려가 있다”며 공정보도와 함께 유권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홍현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