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시사 경제 용어]지리정보시스템·패스트 패션

지리데이터 수집·분석해 모든분야 사용

■지리정보시스템=지리정보시스템은 과거 인쇄물 형태로 이용하던 지도와 지리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 작성·관리하고 여기서 얻은 지리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를 수집·분석·가공해 지형과 관련되는 모든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설계된 종합정보시스템을 말한다. GIS는 지리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많은 기술이 동원되고 많은 분야가 결합해 이뤄지는 만큼 정의와 개념, 구현이 다양하다. 컴퓨터 기술 및 전자지도 제작 방식의 발전 등에 따라 활성화된 초창기 GIS는 지도 제작 성격이 강했다. 그러나 이후 정보기술 분야가 발달하고, 발전된 정보기술이 GIS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그 성격과 모습이 달라지게 됐다.

최근 정보기술 분야는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기술로서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기술 발전, 인터넷 등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기술 발전, 컴포넌트 형태의 기술 발전, 클라이언트·서버 등으로 인한 다중 사용자 환경 등이 보편화되고 있다. 또 이런 주요한 기술과 방법이 GIS 분야에 적용·통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5년부터 국가지리정보체계(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NGIS) 사업을 추진 중이며, 2000년에는 '국가지리정보체계의 구축과 활용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돼 국토해양부가 주축이 돼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최신 유행 스타일 옷 빠르게 제공

■패스트 패션=소비자의 기호를 즉각 파악해 유행에 따라 스타일을 빨리 바꿔 내놓는 의류다. 대표적인 패스트 패션 브랜드로는 미국의 갭, 스페인의 망고, 자라, 일본의 유니클로, 스웨덴의 H&M 등이 있고 국내 브랜드로는 미쏘, 스파오 등이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최신 유행 스타일의 옷을 저렴하게 살 수 있고, 업체로서는 빠른 회전으로 재고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반면 더 싸고 빠르게 다양한 옷을 많이 만들기 때문에, 이를 만들고 관리·폐기하는 과정에서 쓰레기 양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 탄소 배출량도 크게 늘어나 환경을 해친다는 단점이 있다.

패스트 패션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슬로 패션'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는 친환경 천연소재에 친환경 염색법을 접목하는 등 생태 환경과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다양한 의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