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적절치않은 사례를 들면서 ‘강원도’를 언급해 논란이 일고 있다.
김 실장은 지난 5일 KBS 9시 뉴스에 출연, 코로나19와 관련된 정부 정책 등을 설명하는 와중에 마스크 공급과 관련해서 “강원도에 계신 분하고 대도시에 같은 분이 꼭 일주일에 한장씩 공평하게 나눠쓰는게 정말로 공평한 것이냐라고 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고민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 실장의 이같은 발언은 ‘정부가 생산량 100%를 사들여 지자체가 통장 등에게 배부하는 방법을 고려했었나’는 앵커의 질문에 답을 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김 실장은 “필수 공급 대상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서 버스나 택시를 운전하시는 분들, 또는 회사 창구에서 고객을 상대해야 되시는 분들, 이런 분들을 배려해야지만 우리 사회가 유지될 수 있지 않겠느냐라고 하는 마음에, 한장씩 무료로 나눠드리는 방법보다는 그래도 국민의 동참 속에서 두장씩까지는 필요한 분들에게 더 먼저 드리자라는 방식으로 가는게 맞다라고 고심에 참 결정을 하게 된 것”이라고 말을 이었다.
이는 ‘모두에게 똑같이 마스크를 나누는 것보다 사람들과의 접촉이 많은 장소에서 업무를 보는 사람들에게 우선적으로 배려돼야 하지 않겠느냐’는 취지로 해석됐지만 하필 그 사례로 ‘강원도’를 들면서 마치 강원도 사람들은 마스크가 필요하지 않은 것처럼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이다.
실제로 김진태 미래통합당 국회의원은 “폐렴바이러스가 대도시 분들에겐 더 위험하고 강원도 분들에겐 덜 위험한가? 이런 비과학적, 극단적 지역차별적 언행을 하는 사람이 청와대 정책실장”이라고 비판하면서 “이건 현 정부가 평소 강원도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는지 본심이 나온거다. 그동안 케이블카도 전국에 다 해줬는데 설악산에만 안해줬다. 이 정권의 지역차별은 끝이 없다” 고 주장했다.
지역정가에서는 “그렇지않아도 누더기가 된 선거구 획정 때문에 도민들의 반발이 극심한 상황에서 청와대 정책실장의 발언은 그 의도가 무엇이든 적절치 않은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이하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