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도발 징후 보이면 2단계 조정
군·경찰·정보기관 협조체제 유지
도는 북한의 포격 도발 등에 대비해 '위기대응 1단계'를 가동하고 접경지역 주민들의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위기대응 1단계는 군 당국과 협조체제를 유지하며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상황을 관리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도 비상기획과에 경보통제소를 운영하고 각 시·군별로 비상근무를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북한의 국지도발 시 주민보호를 위한 대피소 운영에 문제가 없도록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양구 해안면에 위치한 한 대피소는 감자가 저장된데다 악취까지 풍겨 주민들이 기피하는 등 문제점도 드러나 도 차원의 점검이 시급하다.
도내 북한의 도발 징후가 농후하거나 위험이 커질 경우 도는 전 기능을 동원하는 '위기대응 2단계'로 수위를 높이게 된다. 비상대기팀, 복구지원팀, 구호팀 등 10개 팀을 구성해 중앙부처의 지시사항 전파와 군·경을 비롯한 관계기관과의 협조체제를 강화한다.
위기대응반은 적의 도발에 따라 최고 경계태세인 '진돗개 하나'가 발령되면 통합방위지원본부로 전환한다. 총괄지원반과 인력·재정동원, 산업·수송장비지원, 의료·구호지원, 보급·급식지원, 통신·전산지원, 홍보지원 등 7개 지원반으로 구성한다.
앞서 도는 지난 22일부터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등 도내 5개 접경지역 주민 1,957명을 대피시켰다. 23일 오전 7시10분 고성 주민 398명의 귀가조치를 끝으로 화천에서만 주민 202명의 대피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현재는 도 관할지역에 북한의 도발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위기대응 초기 조치를 유지하고 있다”며 “군부대, 경찰, 정보기관 등 관계 기관 등과 협조체제를 강화해 주민들이 다치거나 불안해하지 않도록 상황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성현기자 sun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