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설지원 50인 미만 업체 한정
도내 수천명 지원대상서 빠져
다중이용시설 대책 필요 지적도
노동부 “실질 상황 지속 점검”
속보=밀집사업장의 집단감염 우려(본보 지난 12일자 5면 보도)가 커지면서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그러나 도내 밀집사업장 노동자들은 여전히 감염 위험에 노출돼 있는 실정이다.
고용노동부는 집단감염 방지를 위해 50인 미만 콜센터업체에 시설 개선을 위한 예산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지만 강원도의 경우 90.7%에 이르는 노동자가 근무하는 시설이 지원 대상에서 빠져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강원도 조사 결과 도내 콜센터에서 근무하는 노동자 3,036명 중 50인 미만 사업장 근무자는 28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더욱이 지자체와 고용노동부는 아직 사업장 파악조차 제대로 마치지 못하고 있는 데다 조사 결과에 대한 차이도 커 집단감염 우려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강원도의 조사 결과 도내 콜센터 사업체 수는 35개소, 종사자는 3,036명으로 집계되고 있지만 고용노동부의 조사에서는 43개소, 291명으로 파악돼 큰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고용노동부가 고용보험에 가입해 있는 소규모 업체를 포함한 리스트를 기반으로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반면 지자체는 대규모 업체 중심으로 직접 연락해 확인하기 때문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강원도는 고용노동부와 협의해 지자체 조사 결과에 포함돼 있지 않은 소규모 사업장을 중심으로 추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PC방 등 청소년들이 많이 모이는 고위험 사업장에도 실질적인 대책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도내 한 PC방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안모(25)씨는 “무인 결제가 이뤄져 방역이 꼼꼼하게 이뤄지기는 불가능하다”고 털어놨다. 이승순 한림대춘천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고위험 사업장에 대한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바로 지역사회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지자체 등을 통해 실질적인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서화·김인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