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정부 "한국 코로나19 대응 전략, 전세계 표준 · 모범사례 될 수 있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릉 아산병원 드라이브스루 선별진료소에서 확진자와 접촉한 방문자에 대해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정부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방역 관리체계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며 전 세계의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고 자평했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31번 환자 발생 이후 방역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지만, 우리나라 방역관리체계는 효과적으로 상황을 통제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차장은 "우리나라의 방역관리 체계는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등을 거치며 계속 발전해 왔고, 그 경험을 통해 외국과 다른 소중한 장점들을 가지게 됐다"면서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한 투명하고 신속한 정보 공개, 물리적 봉쇄와 동일한 방역 효과를 달성케 한 국민들의 개인위생 준수와 '사회적 거리두기', 국가의 감염병 검사비·치료비 부담, 승차 검진(드라이브 스루) 방식의 검체 채취, GPS 정보를 이용한 역학조사 등 첨단기술이 잘 조화된 빠르고 다양한 대응 전략 등을 꼽았다.

박 차장은 "한국은 기존 방역관리체계의 한계를 넘어 개방성과 참여에 입각한 새로운 방역관리 모델을 만들고 있다"며 "힘든 시기를 잘 극복한다면 우리나라의 대응이 다른 나라의 모범 사례이자 전 세계의 표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차장은 "한국의 진단검사는 최대 1일 1만7천건까지 가능하고, 누적 검사 건수는 19만 건에 이른다"며 "국내 확진자 수가 많은 것은 월등한 진단검사 역량과 철저한 역학조사 등 방역역량의 우수성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정훈 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