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전문가 100인 강원경제 전망 분석]4명 중 3명 “현재 경기상황은 장기형 불황”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차기 정부에 '내수침체 극복' 주문

'트럼프·사드' 리스크 우려 목소리

경제전문가들은 올해 국내 경기상황에 불확실성이 많다는 진단을 내렸다. 현재 경기상황을 묻는 질문에 '장기형 불황'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75%로 압도적이었다. '경기 저점' 응답도 5.8%로 10명중 8명이 현재 상황은 경기침체기라고 답했다. '경기 저점 통과 후 회복 국면'은 14.4%에 그쳐 국내 경제 상황이 향후 나아질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 비율은 적었다.

차기 정부가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경제정책으로는 '내수침체 극복'(37.5%)을 꼽았다. 불황이 장기화되며 공공부문은 물론 민간투자도 감소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풀이된다.

'국제 불확실성의 파급효과 최소화를 위한 리스크 관리'도 필요하다는 응답이 31.7%로 뒤를 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으로 미국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될 경우 국내 기업들의 수출 및 매출 부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또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반발, 북한의 위협 등 정치적 문제도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크기 때문에 리스크를 최소화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양극화 해소 등 경제민주화'(17.3%), '기업 수출 경쟁력 강화'(11.5%)를 선택한 응답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 밖에 '구조조정을 통한 경제 내실화', '일자리 창출' 등도 차기 정부가 해야 할 정책으로 꼽혔다.

하위윤기자 faw4939@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