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총선 선거구 획정이 결국 도내 선거구 1석 축소로 결정되면서 지역을 대표할 '강원 몫' 비례대표로 정치력 약화를 보완해 줘야 한다는 지역사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의석은 1석 감소하고 5개 지자체가 묶인 거대 선거구가 2개 출현하며 대표성마저도 축소됐기 때문이다.
지난 3일 공포된 총선 선거구 재획정으로 전국적으로 지역구는 7석이 늘었으나 농어촌 지역은 5석이나 줄었다. 특히 도내에는 서울시 면적(605㎢)보다 각각 10배(홍천-철원-화천-양구-인제), 8.5배(태백-횡성-영월-평창-정선) 넓은 선거구를 단 1명의 국회의원이 맡게 되면서 지역 주민에 대한 '정치적 서비스' 축소가 불가피하다. 선거운동은 고사하고 지역구 관리조차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효율적인 의정활동 불가능은 결국 '도농 간 격차'로 이어지며 '국가 균형발전'이라는 헌법상의 가치도 훼손될 수 밖에 없다. 공직선거법상 선거구 획정은 자치구·시·군의 인구와 지역대표성을 고려해 정하게 돼 있지만, 면적 교통 지세 등 지역의 특수성이 획정 과정에서 철저히 배제된 결과다.
최근 최문순 지사는 도내 지역구 1석 축소 결정 이후 오는 4·13 총선에서 '강원 몫' 비례대표 우선 배정을 여야에 촉구했다. 최 지사는 새누리당에는 지리적 특성이 반영되지 못한 선거구 감소 보완책의 명분을, 더불어민주당에는 19대 총선에서 단 1석의 지역구 의원도 배출하지 못한 열악한 정치환경을 들어 '전략적 차원'의 비례대표 안배를 강조했다.
더민주 도당은 이번 총선에서 심기준 도당위원장과 이동기 전 청와대 행정관 등 2명이 전략지역 분야 비례대표에 도전장을 냈다. 정태수 강원대 통일강원연구원 초빙교수는 사회적다양성 전형 중 교육 분야에 지원했다. 횡성 출신 차순오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수석전문위원은 최근 실시한 새누리당 사무처 몫 비례대표 후보자 선출을 위한 1차 투표에서 상위 득표자 4인에 포함됐다.육동한 강원발전연구원장은 “전국 유일의 거대 선거구가 2곳이 나온 도에 의무적으로 비례대표를 고정 할당할 필요가 있다”며 “이들 거대 선거구는 제주도와 세종시처럼 인구편차 기준을 예외로 적용해 최소 의석수를 배정하는 방안도 지속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홍현표기자 hphong@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