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어려운 영역 잘 봤다면 표준점수 반영대학을

표준점수·백분위·등급 점수별 특성따라 전략 짜야

변별력 가장 뛰어나 대다수 상위권 대학 정시 반영

쉽게 출제된 영역 잘본 학생은 중위권 대학서 유리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 수험생은 28일 성적표를 받으면 영역·과목별로 표준점수와 백분위, 등급 등 3가지 점수별 특성에 따라 전략을 잘 짜야 한다.

점수 종류에 따라 수험생의 성적 위치와 합격 유불리가 달라지는 만큼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어렵게 출제된 영역을 잘 본 수험생은 표준점수 반영 대학을, 쉽게 출제된 영역을 잘 본 수험생은 백분위 반영 학교를 노리는 게 좋다.

표준점수는 상대적 서열을 따지는 점수로 3개 점수 중 상위권 변별력이 가장 뛰어나다.

영역별 평균점수를 토대로 수험생의 원점수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따져볼 수 있도록 환산한 점수다. 다른 수험생이 몇 점을 받았는지에 따라 내 점수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원점수와 다르다. 대다수 상위권 대학은 수능이 주요 전형요소인 정시에서 표준점수를 본다. 원점수 분포에 따라 점수 변환에 따른 영향이 커진다는 것이 단점이다.

백분위는 영역별 전체 응시자 가운데 본인보다 낮은 표준점수를 받은 수험생의 비율을 0에서 100까지 표시한다. 성적이 좋을수록 수치가 높다. 예컨대 A영역에서 표준점수 70점을 받았는데 백분위가 75라면 자기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수험생이 A영역 응시자 전체의 75%라는 뜻이다. 백분위는 중위권 대학이 정시에서 많이 쓰며 수시 최저학력 기준에서도 서강대와 성균관대 등 일부 학교가 반영한다.

등급은 영역·과목별 표준점수에 근거해 수험생을 1∼9등급으로 나눈 것으로 수능 최저학력 기준에서 가장 많이 쓰이며 일부 대학이 정시에서 반영하는 경우도 있다.

황형주기자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