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된 가운데, 강원 정가는 과거와는 다른 양상으로 대선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탄핵 정국’이라는 공통 분모 속에서도 8년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과는 달리 표면적 이탈을 찾아보기 어려운 분위기다.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 강원 지역 보수 진영은 거센 내부 진통을 겪었다. 권성동·황영철 국회의원이 새누리당을 탈당해 바른정당 창당에 동참하며 지방의회에서도 도미노 탈당이 벌어졌다. 이로 인해 2017년 대선에선 보수 표심이 분산됐다. 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강원에서도 34.16%라는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번엔 표면적으로 당내 이탈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국민의힘 소속 도내 국회의원 6명 전원은 물론, 지방의원들 사이에서도 탈당이나 이탈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 이같은 변화는 ‘탄핵 학습 효과’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지역구 국회의원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현 구조상 2026년 지방선거 공천을 염두에 두면, 독자적 목소리를 내는 것이 곧 정치적 리스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선 구도에 변화가 생긴 점도 국민의힘 내 이탈이 나오지 않는 이유 중 하나로 분석된다. 국민의힘의 경우 인지도 높은 대선주자들이 다수 포진해있고 당 지지도도 3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보수 진영이 국민의힘 후보를 중심으로 뭉쳐 민주당과 일대일 구도를 만들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강원 정가 관계자는 “조기 대선은 보수 진영에 불리하지만은 않은 선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누가 중도층 마음을 끌어오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