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핵심 과제 중 하나로 꼽히는 '글로벌 혁신 특구'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중소벤처기업부-지방자치단체 정책협의회가 13일 (재)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협의회에는 오기웅 중소벤처기업부 차관과 정광열 강원자치도 경제부지사, 김명규 충북도 경제부지사, 부산·전남도 실무자 등이 참석, 지역별 글로벌 혁신 특구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상호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사업 참여 지자체가 각 주제별로 실증 안전성 확보방안과 실증인프라 구축 계획 등의 글로벌 혁신 특구 준비 상황을 공유했다. 또 네거티브 규제 특례와 관련한 관계부처 협의 경과도 살폈다.
참석자들은 글로벌 혁신 특구 추진 과정에서 중기부와 지자체 간 협업이 초기단계부터 긴밀히 이뤄지는데 한목소리를 냈다.

오기웅 차관은 "지자체와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을 토대로 지방에서도 유니콘 기업이 탄생하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광열 경제부지사는 "글로벌 혁신 특구를 계기로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 규제 없이 자유롭게 연구하고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바이오헬스산업 생태계 조성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혁신 특구는 첨단분야 신제품 및 서비스 개발과 해외 진출을 위해 네거티브 규제가 적용되고 글로벌 스탠더드 수준의 실증이 이뤄지는 한국형 혁신 클러스터를 일컫는다. 중기부에서는 지난해 12월28일 강원자치도(AI 헬스케어)와 부산(차세대 해양모빌리티), 충북(첨단재생바이오), 전남(에너지신산업)을 후보지역으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