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선 경선이 막바지에 접어들며 각 당 후보들이 강원 표심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24일부터 시작되는 강원권역 경선을 앞두고 강원 맞춤형 공약을 쏟아내며 표심 잡기에 나섰고, 국민의힘 후보들도 강원 인사 영입과 현안 점검을 통해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23일 강원도와의 인연을 강조하며 구체적 공약을 제시했다. 그는 “돌아가신 아버지도 광산 노동자였다”며 강원의 산업사적 희생을 언급하고, 국가 차원의 보상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후보는 강원특별법 3차 개정안 국회 통과를 지원하고, △미래산업 육성 △K-문화관광 벨트 구축 △수도권 연계 △안전한 강원 구현 등을 약속했다.
같은 날 김경수 후보는 △동해신항 3단계 개발 △폐광지역 대체산업 육성 등을 내걸고, 연간 2조 원 수준의 자율예산 지원도 제안했다. 김동연 후보는 앞서 지난 22일 강원특별자치도법 개정을 주장하며 강원형 그린에너지 산업 육성을 약속했다.

국민의힘은 순회 경선 없이 본선 중심으로 전략을 세운 가운데, 주요 후보들도 강원 관련 메시지를 내기 시작했다.
홍준표 후보는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강원특별자치도와 같은 현재의 도(道)체제를 개편해 새로운 광역 행정 구역으로 도입해야 한다”는 행정구역개편의 큰 틀을 제시했고 세부 지역공약은 유상범 총괄상황본부장, 염동열 인재영입위원장 등 강원 출신 인사들이 짤 전망이다.
김문수 후보는 고용노동부 장관이던 지난 3월 말과 이달 초 강릉과 삼척을 잇따라 방문, 폐광을 앞둔 삼척 도계광업소를 찾는 등 강원도 현안에 대한 상황 파악했다.
안철수 후보는 지난 2023년 당 대표 선거 당시 이미 강원을 환동해 관광휴양 및 생태산업 특별자치도로 발전시키겠다는 공약을 내걸었었다. 한동훈 후보는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광역 도로 및 고속 철도망 조기 구축과 강원특별법 3차 개정 추진 완료, 관광인프라 구축을 위한 오색케이블카 적기 완공 등을 내세우기도 했다.
국민의힘 경선 캠프 관계자는 “민주당은 본선 체제로 지역 공약을 앞세우는 반면, 국민의힘은 경선 중으로 공약 수립이 진행 중”이라며 “강원 방문 일정도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