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강원 15개 지역 응급실 없어 '원정 진료'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농어촌지역 관내이송률 낮고 주민 불편
"정책들간의 조화·시너지 효과 필요"

강원특별자치도 18개 시·군 중 83%에 이르는 15개 지역에 중증환자를 적절히 진료할 수 있는 응급실이 없어 응급상황에 처한 주민들의 원거리 이송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5개 지역은 소아청소년과 취약지역으로 어린이와 보호자들이 고충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중앙의료원이 보건복지부에 제출한 '2022년 의료취약지 모니터링 연구' 보고서를 통해 발표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강원자치도 내 응급의료취약지는 동해·태백·속초·삼척·홍천·횡성·영월·평창·정선·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양양 등 15개 시·군이었다. 특히 동해·속초 등 영동지역과 영월권역 등 대학병원이 없는 농어촌지역에서는 응급환자들이 지역에서 이송되지 못한 채 원거리 이송되고 있었다. 권역 내에서 중증응급환자가 이송되는 비율인 '중증응급환자 관내의료기관 이송률' 은 원주권역이 97%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영월권역에서는 34.2%에 불과했다. 지역에 중증응급환자를 수용할 병원이 없어 10명 중 6명 가량이 먼 거리를 이동해 치료받고 있는 것이다. 관내의료기관 이송률은 속초권 47.6%, 동해권 54.3%로 나타나는 등 춘천·원주·강릉을 제외한 도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태백·속초·삼척·홍천·횡성·영월·평창·정선·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양양 등 14개 시·군은 분만취약지, 홍천·평창·화천·인제·고성 등 5개 시·군은 소아청소년과 의료취약지에 해당하는 등 '필수의료' 각 분야에서 주민들의 불편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진은 보고서를 통해 "분만취약지 지원, 응급의료 취약지 지원, 취약지 건강보험료 경감, 취약지 지역거점 공공병원 지원, 취약지역의 보건지소 및 진료소 설치, 의료 취약지 소득세 감면 등의 정책이 있으나 정책들 간의 조화 및 조율이 없어 시너지 효과를 이뤄내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각 의료분야별 취약지 문제에 대한 체계적·포괄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