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선후보 선택 기준은
53.6% “가족 문제 영향있다”
강원지역 “영향없다” 더높아
‘정권 교체' 공감 응답 50.9%
논란이 되고 있는 여야 대선 후보의 가족 문제에 대해 응답자의 과반은 대선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권 재창출'과 ‘정권 교체'를 기본으로 한 대선 프레임에서도 과반이 ‘정권 교체'에 손을 들었다. 다만 강원도 민심은 전국 흐름과 미묘한 ‘온도 차'를 드러내는 등 여야 후보 선택을 놓고 고심하고 있는 흔적이 역력했다.
■아들·부인 논란…대선 결과 바꿀까=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는 각각 아들과 부인 때문에 고개를 숙였다. 앞서 이 후보의 아들은 인터넷 도박 논란에, 윤 후보의 부인 김건희씨는 이력서 허위 기재 논란에 휩싸였었다. 그러나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는 분위기다. 대선이 끝날때까지 가족 논란이 꼬리표처럼 따라붙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53.6%가 대선 후보의 가족 문제에 대해 ‘매우 영향을 미칠것'(24.5%),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29.1%)이라고 답한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가족 문제에 따라 후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고 답한 셈이다.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22.8%),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21.2%)이라는 응답은 44%였다. 다만 강원지역에서는 전국적인 흐름과는 다소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48.8%로 ‘영향을 미칠 것'(44.2%)이라는 응답보다 많았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강원은 7.1%로 전국 2.4%에 비해 높았다.
■‘정권 재창출' VS ‘정권 교체'…정권 교체 과반=대선 프레임을 묻는 질문에서는 ‘정권 교체'에 공감하는 응답자가 더 많았다. 50.9%로 과반을 넘었다. ‘정권 재창출을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되어야 한다'는 응답은 39.2%,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0%였다. 특히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지지층의 94.9%가 ‘정권 교체'를 택했고,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와 우리공화당 조원진 후보의 지지층에서도 각각 65.9%, 81.2%가 ‘정권 교체'에 힘을 실었다. 반면 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층에서는 86%가 ‘정권 재창출'을, 8%가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강원지역에서는 ‘정권 교체' 응답이 52.7%로 전국보다 다소 높았고, ‘정권 재창출' 응답은 30.5%로 전국보다 낮았다. ‘잘 모르겠다'고 선택을 보류한 응답자도 16.7%로 전국 10%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여야 대선 후보 주도권 싸움 가열=여야 대선 후보들의 주도권 전쟁은 점점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두 후보의 지지율이 초박빙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 만큼 조금이라도 세를 끌어오기 위한 각 진영의 총력전이 예상된다. 정당의 지지율 역시 야당이 다소 우세이지만 오차범위 내에 있어 지지층 결집과 중도층을 잡기 위한 시도가 이어질 전망이다. 여기에 현재 불거진 아들·부인 논란과 대선 프레임 전쟁 외에도 대장동 의혹, 장모 개발특혜 의혹, 여기에 각 후보들의 각종 실언까지 국민들의 평가 시험대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서울=원선영기자
◆어떻게 조사했나 =이번 여론조사는 한국지방신문협회의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조원씨앤아이가 지난 26일부터 29일까지 4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3,013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8%포인트다.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9만3,668명에게 접촉해 3,013명이 응답, 응답률은 3.2%다. 주민등록인구현황에 따라 성별, 연령대별, 지역별 비례할당으로 무작위 추출 후 무선 100%로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을 이용해 ARS 여론조사로 진행됐다. 통계보정은 2021년 11월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값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