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3주년을 맞은 10일 "우리의 목표는 '세계를 선도하는 대한민국'…우리가 염원했던 새로운 대한민국"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10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취임 3주년 특별연설’을 발표하며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방역과 경제 등 모든 방면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대한민국을 만들어가자는 목표를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위기에 대해 "피하고 싶어도 피할 수 없다. 정면으로 부딪쳐 돌파하는 길 밖에 없다"며 "비상한 각오와 용기로 위기를 돌파해 나가겠다. 나아가 위기를 기회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방역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나라가 됐다"며 "’K-방역’은 세계 표준이 됐다. 대한민국의 국가적 위상과 국민적 자부심은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국민의 힘으로 방역전선을 견고히 사수했고 바이러스와의 전쟁을 이겨왔다."며 "방역과 일상이 공존하는 새로운 일상으로 전환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우리는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간 것이 아니다"며 최근 유흥시설 코로나19 집단감염을 거론한 뒤 "언제 어디서나 유사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일깨워 줬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가 완전히 종식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며 "그러나 그때까지 일살 복귀를 마냥 늦출 수 없다. 정부는 장기전의 자세로 코로나19에 빈틈없이 대처할 것이고 국민들께서도 끝까지 방역수칙을 잘 지켜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방역시스템과 관련해 "질병관리본부를 질병관리청으로 승격해 전문성과 독립성을 강화하겠다"며 "코로나19의 2차 대유행에 대비해 감염병 전문병원과 국립 감염병연구소 설립도 추진하겠다"고 밝히며 국회의 신속한 협조를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경제 위기에 대해 "지금의 경제위기는 100년 전 대공황과 비교되고 있다"며 "대공황 이후 최악의 마이너스 성장에 직면했다. 바닥이 어디인지, 끝이 어디인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제위기에 따른 어려움과 충격들을 언급하며 "경제 전시상황을 견디고 계신 국민 여러분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경제위기 극복에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언급한 뒤 "정부가 지금까지 245조원을 기업 지원·일자리 대책에 투입한 데 이어 3차 추가경정예산안을 준비 중이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정부가 할 수 있는 자원과 정책을 총동원하겠다”며 “다른 나라들보다 빠른 코로나 사태의 안정과 새로운 일상으로의 전환을 경제활력을 높이는 전기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방역과 마찬가지로 경제위기 극복도 국민이 함께 해주신다면 성공할 수 있다.”며 “정부는 국민과 함께 경제위기 극복에서도 세계의 모범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저는 남은 임기 동안 국민과 함께 국난 극복에 매진하면서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데 전력을 다하겠다. 세계를 선도하는 대한민국의 길을 열어나가겠다”며 이와 관련해 ▲ 선도형 경제를 통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개척 ▲ 고용보험 적용의 획기적 확대 및 국민취업지원제도 시행을 통한 고용안전망 확충 ▲ 일자리 창출을 위한 ‘한국판 뉴딜’ 추진 ▲ 사람의 생명과 안전을 우선하는 연대·협력의 국제질서 선도 등 4대 과제를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3년에 대해 “공정과 정의, 혁신과 포용, 평화와 번영의 길을 걷고자 했다."며 "하루하루가 살얼음판을 걷는 심정이었지만 그때마다 국민들께서 힘과 용기를 주셨다"고 국민의 성원과 지지에 감사를 표했다.
이어 “남은 2년, 더욱 단단한 각오로 국정에 임하겠다”며 “임기를 마치는 그 순간까지 국민과 역사가 부여한 사명을 위해 무거운 책임감으로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태영기자 · 하다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