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최악가뭄 이대론 안된다]“비 올 때까지만 버티면 돼” 급수제한 미봉책 되풀이

2015년에 이어 역대 최악의 가뭄이 또다시 발생, 도 전역이 말라가고 있다. 이상 기후 등에 따라 가뭄이 상시화됐지만 각 자치단체의 가뭄 대책은 미처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시급한 항구적 가뭄 대책 마련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상·중·하 세 편에 걸쳐 진단해 본다.

최악의 가뭄에도 도내 각 자치단체의 대응은 2년 전인 2015년과 비교해 달라진 것이 없다.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영동지역은 지형의 경사가 가파른 특성상 하천이 짧고 댐이나 보 등 물 저장 공간이 부족하다.

그럼에도 각 자치단체는 한시적 대책으로 가뭄을 넘기다 이번에 직격탄을 맞았다. 실제 강릉시는 가뭄이 한달째 이어지자 다음달 1일부터 생활용수 급수제한을 실시한다. 2015년에도 일부 자치단체가 생활용수 급수제한을 실시했다. 지난 26일에는 직경 25㎝의 관이 강릉 홍제정수장 인근 보에서부터 식수원인 오봉저수지까지 약 1.8㎞ 구간에 걸쳐 연결됐다.

5억원이 투입된 이 관은 하루 1만여톤의 물을 오봉저수지에 공급하지만 가뭄 기간 이후에는 노후화된 상수도관 교체 등에 쓰인다. 가뭄이 다시 발생하면 같은 피해와 노력이 반복돼야 하는 셈이다. 이처럼 가뭄을 겪는 자치단체들은 급수제한과 응급 관로 설치 등 한시적인 대책으로 비가 내릴때까지 견디겠다는 모습이다.

반면 수위는 낮지만 소양강댐, 광동댐, 횡성댐 등처럼 완충이 가능한 댐과 보 등을 보유한 영서지역은 농업용수 부족을 제외하고는 생활용수 공급 피해가 적은 점이 대비된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영서지역처럼 가뭄을 극복 할 수 있는 항구적 대책과 함께 이를 추진하기 위한 재원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선 가뭄이 심각한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어촌공사 강원지역본부가 구상중인 영동 지역 간 저수지를 연결하는 사업과 강릉지구 농촌용수광역화 사업 등이 주목 받고 있다.

도 관계자는 “가뭄이 상시화 되면서 중앙정부도 항구적 대책 지원에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최나리기자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