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앙숙관계였던 중국 오·월나라
쓰디쓴 쓸개 맛보며 복수 다짐
와신상담(臥薪嘗膽·누울臥 섶薪 맛볼嘗 쓸개膽)이라, 자신에게 패배를 가져다 준 원수를 잊지 않고 반드시 갚겠다는 비장한 모습을 나타낸 표현으로 섶나무 위에서 잠을 자고, 쓰디쓴 쓸개를 핥으며, 원수 갚기를 잊지 않음을 뜻한다.
오(吳)나라 왕 합려(闔閭)는 말을 타고 도망치다가, 전방에서 날아오는 화살을 손으로 막다가 엄지손가락에 화살이 박혔다. (…) 합려는 죽음을 예감하고 태자 부차(夫差)의 손을 붙잡고는 애절하게 부탁한다. “월(越)나라를 잊지 말거라! 월나라 왕 구천(句踐)이 나를 이 지경으로 만들었다!” 죽어가는 부왕(父王)을 바라보던 부차는 이렇게 소리 지른다. “결코 잊지 않겠습니다. 3년 안으로 반드시 복수하겠습니다!” (…) 오나라 왕이 된 부차는 부왕의 유언을 잊지 않으려고 섶 위에서 잠을 자고(臥薪), 침전으로 찾아오는 신하들에게는 반드시 아버지의 유명(遺命)을 외치도록 했다.
이토록 밤낮없이 앙갚음을 맹세하면서 부차는 은밀히 군사를 훈련시켜 때가 오기만을 기다렸다. 이 사실을 안 구천은 선제공격을 감행한다. 그러나 월나라 군사는 복수심에 불타는 오나라 군사에 대패하여 회계산(會稽山)으로 도망갔다.
오나라 군사에 포위된 구천은 부차에게 신하가 되겠다며 항복을 청원했고, 부차는 구천의 뜻을 받아들이고 귀국까지 허락했다. 구천은 오나라의 속령이 된 고국으로 돌아와 항상 곁에다 쓰디쓴 쓸개를 놔두고 선 그 맛을 맛보며(嘗膽) 회계산의 치욕을 상기했다. 그리고 밭 갈고 길쌈하는 농군이 되어 은밀히 군사를 훈련하며 절치부심(切齒腐心) 복수의 기회를 노렸다.
이로부터 20년이 흐른 뒷날 구천이 오를 쳐 이겨 부차를 굴복시키고 마침내 회계의 굴욕을 씻었다는 이야기다. 이렇게 오나라와 월나라는 서로 물고 물리는 견원지간(犬猿之間)이었던 것. 그런데 '오월동주(吳越同舟)'란 말이 있으니 이는 서로 적의를 품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됨을 이르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