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지역 혁신클러스터 전국 1위, 주민 체감이 중요

강원특별자치도, 산자부 성과 평가서 우수
18개 기업 투자 유치·사업화 매출 641억원
청년·소상공인·학생들에게 직접 연결돼야

강원특별자치도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3~2024년 지역 혁신클러스터 육성 사업 성과 평가’에서 전국 1위를 차지하며 최고 등급인 ‘우수’ 지자체로 선정됐다. 이는 강원도가 오랜 기간 일관되게 추진해 온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육성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 평가된다. 강원테크노파크와의 협업 아래 구축된 디지털헬스케어 클러스터는 단순한 산업 거점을 넘어 지역의 미래를 견인할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해당 클러스터는 18개 기업의 투자를 유치했고 사업화 매출은 641억원에 달했다. 신규 고용 인원 239명, 특허 및 인증 실적만 해도 141건에 이르며, 입주 기업의 매출은 2023년 기준 1조8,783억원, 고용 인원은 6,873명에 달하는 등 실로 괄목할 만한 성과다. 이와 같은 수치는 양적 성장뿐 아니라 질적 도약을 동시에 이뤄냈음을 보여준다. 특히 강원도가 전통적인 의료기기 산업 중심에서 AI,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기반의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으로 산업구조를 전환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은 국내 산업구조 전반의 미래 방향성과도 맞닿아 있다.

강원도의 이러한 성과는 이미 2018년 원주 혁신도시를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거점지구로 지정하고 전략적 투자를 아끼지 않은 결과다. 여기에 산·학·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며 기술 개발, 사업화, 인재 양성 등 전 분야에서 실질적 시너지를 창출한 것이 오늘날 전국 최고 성적으로 이어진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멈춰서는 안 된다. 중앙정부의 평가 결과와 수치는 분명 자랑스러운 일이지만 그것이 곧바로 주민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면 그 의미는 퇴색할 수밖에 없다. 산업의 성공과 행정적 성과는 결국 주민 체감으로 귀결돼야 한다. 현재의 수치가 지역 청년에게 좋은 일자리로, 소상공인에게는 유동 인구 증가로, 학생들에게는 교육 기회의 확대로 연결되지 않는다면 이는 정책과 산업이 따로 노는 결과가 된다. 실제로 많은 지역이 국책 사업의 유치와 대규모 단지 조성에 성공했음에도 주민 삶의 질 향상에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겉으로 보이는 성과와 실제 체감 간극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원도가 진정한 혁신클러스터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주민 삶과 직결되는 요소들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 클러스터 내 기업들이 지역 인재를 적극 채용하고 지역 대학과의 연계를 통해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가동함으로써 지역 내에서 기술 인재가 성장하고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또한 지역 청년들이 도내에서 취업과 창업의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업의 성장뿐만 아니라 정주 환경 개선도 병행돼야 한다. 청년을 유입하고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주거, 교통, 문화, 교육 등 다방면에서의 인프라 확충이 필수다. 단지 일자리만 제공한다고 해 사람이 머무는 것은 아니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