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춘천·양구에 차세대 도심교통망 '트램(Tram·노면전차)' 도입 검토…기대반 우려반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사진=연합뉴스

국내 운행 경험 없어 법 규정 모호…안전·경제성 검증 안 돼

실제 대관령은 2018년 도입 검토하다 적자 우려 포기하기도

친환경 교통수단 매력은 충분…道 “기초 단계부터 검토 중”

속보=춘천, 양구, 대관령 등 도내 곳곳에서 차세대 도심교통망으로 떠오르는 트램(Tram·노면전차) 도입(본보 지난 22일자 1면 보도)을 검토 중이지만 현실화를 위해서는 법 규정 및 행정절차 사업성 검증, 기술적인 문제까지 풀어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다.

강원도 등에 따르면 현재 트램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지역은 춘천과 양구다. 춘천은 도심부터 내년 개장 예정인 레고랜드를 잇는 무가선(자가 배터리를 이용) 수소전기트램 도입을 구상 중이다. 양구 역시 2027년 동서고속전철 개통 시 양구역에서 도심 신설을 잇는 트램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국내 운행 경험이 없어 법 규정부터가 모호하다. 지난해 트램 3법으로 불리는 도시철도법, 철도안전법, 도로교통법이 개정됐지만 아직 하위규정은 세세하게 정해져 있지 않다. 트램은 기존 자동차 도로 위를 운행하는 만큼 신호체계, 통행방법 등을 새로 짜야 한다.

춘천의 경우 하중에 민감한 사장교인 춘천대교에 철로를 새로 깔아야 하고 트램 운행 시 안전에 문제가 없는지 검증하는 과정이 먼저다.

양구는 트램이 주로 대도시에서 교통혼잡의 대안 차원으로 건설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예비타당성 조사 등의 과정에서 경제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실제 강원도는 2018년 대관령에 산악열차 형태로 트램 도입을 검토했지만 사업성을 검증하기 어렵고 적자가 우려돼 포기한 바 있다. 또 트램 도입 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을 세워 국토교통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강원도는 지하철이나 경전철 등 도시철도망을 운영해 본 경험이 없어 이 계획 자체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는 행정적 부담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램이 갖는 매력은 상당하다. 트램 공사비는 1㎞당 250억원 정도로 지하철이 1㎞당 1,000억 이상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또 지상을 운행해 시내버스처럼 노약자 등의 이용이 쉽고 전기, 수소 동력을 사용해 오염물질 배출도 적다. 강원도 관계자는 “아직은 춘천을 중심으로 기초적인 단계부터 검토 중이며 검증절차가 많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최기영기자 answer07@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