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예고된 파업에도 교육당국 우왕좌왕…파업규모 축소에만 급급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학교 비정규직 총파업

정부 사립학교 포함 불가 지침

도내 급식중단 학교 수 감소돼

도교육청 학교명 미공개 빈축

교육당국이 파업 규모를 축소하기 위해 우왕좌왕하며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총파업이 시작된 3일 오전까지 제대로 현장 파악조차 못해 빈축을 샀다.

도교육청은 사전 예고됐던 이번 총파업을 앞두고 지난 2일 오전부터 파업과 관련해 급식운영 중단학교 수 등 파업현황 집계를 시작해 오후 늦게 최종 집계를 마쳤다. 하지만 이 집계는 파업이 시작된 3일 오전 정정됐다. 교육부가 사립 학교를 포함시키지 말라는 지침이 내려왔기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2일에는 도내 급식운영 중단 학교 수 299곳, 돌봄 미운영 학교 및 병설유치원 수 57곳이었지만 3일 오전에는 각각 289곳, 51곳으로 줄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교육당국이 이번 학교 비정규직 파업 규모를 축소하기에만 급급하고 정작 해결에는 관심이 없다는 비판과 지적이 제기됐다.

도교육청의 대처 방식도 미흡했다. 급식중단 학교들 중 인근 식당 이용학교 수 등을 정확히 집계하지 못하고, 대체급식 학교와 인근 식당 이용 학교 명단을 개인정보라는 이유로 공개하지 않아 비난을 샀다.

춘천의 한 초교 학부모는 “교육청이 학생이나 학부모 등을 위해 정확한 대체급식 학교 명단을 공개하고 대책도 공개해야 하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또 “교육청과 노조 측 참여인원 수 집계가 많게는 1,000명에서 2,000명까지도 차이가 나고, 학교별 파업 참여 일정도 다르다”며 “어디를 믿어야 할지 모르겠다”고 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파업 참여현황은 학교별로 일일이 확인하다 보니 다소 시간이 걸렸고, 파업 참여자들의 불이익 등이 우려돼 학교명 등을 외부에 공개하기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장현정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