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단 50주년… 신·구작 망라
고향 강릉 애정 표현해 눈길
등단 50주년을 맞은 소설가 윤후명(71)씨가 서정시학 이미지 시집 '강릉 별빛(서정시학 刊)'을 들고 시인으로 돌아왔다.
모두 5부로 구성된 강릉 별빛에는 1977년 30대의 윤 시인이 낸 첫 시집 명궁에 수록된 '숙맥'부터 '홀로 등불을 상처 위에 켜다' '먼지 같은 사랑' '쇠물닭의 책'에 수록된 시들과 신작 시들로 구성돼 있다.
이미지 시집이라는 제목에 걸맞게 책 중간에는 윤 시인이 직접 그린 그림과 시가 원본 그대로 툭툭 튀어나온다.
윤 작가는 “일종의 선집이다. 과거에 썼던 시도 끌어모으고 새로 쓴 시도 넣고, 그림도 넣고, 시를 쓴 원본 원고도 넣었다”며 “최근 강릉을 주제로 전집을 내고 있는데 그 연장선이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작가의 감정과 숨결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시집이다.
윤 시인은 196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시인으로 먼저 등단한 뒤 1979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소설이 당선돼 소설가가 됐다.
그러나 소설가 윤후명으로 이름을 널리 알리다가 또 갑자기 시를 썼고 그림을 그렸다.
그래서 지난 10일부터 21일까지 강릉시립미술관 초대전으로 열리고 있는 '등단 50주년 기념 윤후명 작가전'은 그렇게 명명된 이름이다.
윤 작가는 고향 강릉에서의 등단 50주년 기념전에 대해 “감개무량하다. 제 소설 여기저기에도 강릉이 나왔지만 고향에 돌아와서 하게 될 줄은 몰랐다”며 “8세 때 고향 강릉을 떠나면서 제가 너무 어렸고 삶이 너무 어려웠고 전쟁으로 가까운 이들을 다 잃은 내 전부이지만 너무 큰 아픔과 힘듦의 곳이라 사실 강릉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익명의 도시처럼 썼는데 이제는 당당하게 드러낼 것”이라고 했다.
윤 작가는 또 “8년밖에 살지 않았지만 제 삶을 커다랗게 지배했던 제 본향 강릉을 위해 남은 제 생애 꼭 고향에 보답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고 제 마지막 문학의 사랑을 강릉에 남겨주고 싶다”고 말했다. 서정시학 刊. 136쪽.1만4,000원.
강릉=조상원기자 jsw0724@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