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새 정부에서 논의하게 될 지역정책(본보 20일자 1면 보도) 확정에 앞서 이에 대응할 도 전담조직 확대가 시급하다.
류종현 강원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일 “정부의 지역정책은 산업과 행정은 물론 각 부문별 정책을 모두 통합하고 있다”며 “도에서는 균형발전과가 담당하고 있는데 이를 기획조정실이나 행정부지사가 컨트롤해야 부서 간 조율 등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도는 지난 6일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 토론회에서 강원도를 특별권에서 제외하고 TK(대구·경북)와 묶는 '5+1 광역발전권 방안'이 발표되자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지역발전위는 이에 대해 “학계와 연구기관, 지역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한 바는 있으나, 토론회에서 나온 '5+1 광역발전권' 모델은 지역발전위 공식 입장이 아니며 확정된 것은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도는 최근까지 각종 정부 공모사업에서 필요에 따라 제주도 또는 TK와 묶이는 등 사실상 특수성을 인정받지 못했다며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유명무실화 된 강원도 특수권역 지위를 이 기회에 제도화하려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도내 정치권은 새 정부의 지역정책에서 강원도의 특수성을 반영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심기준 더불어민주당 도당위원장은 “강원도는 평화특별자치도를 추진하고 있다”며 “지역정책에 남북분단에 따른 특수성을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진태 자유한국당 도당위원장은 “새 정부 출범 후 강원도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성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