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어렵게 출제된 영역서 좋은 점수 표준점수 반영 대학에 지원 유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표준점수·백분위·등급 활용법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은 표준점수와 백분위, 등급 등 세 가지 방식으로 산출된다. 대학마다 어떤 성적을 어떻게 반영하는지가 다르기 때문에 수험생들은 자신의 점수별 특성에 따라 유불리를 꼼꼼히 따져 지원전략을 짜야 한다.

수능에서 어렵게 출제된 영역이나 과목에서 좋은 점수를 받은 수험생은 표준점수를 반영하는 대학을, 쉽게 출제된 영역에서 점수를 잘받은 학생은 백분위를 반영하는 대학을 지원하는 것이 유리하다.

표준점수는 자신의 원점수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졌는지를 나타내는 점수다. 현행 수능이 응시생마다 선택 영역, 과목이 다른 선택형 체제로 치러지기 때문에 원점수만으로는 선택 영역·과목에 따른 유불리를 반영할 수 없어 원점수를 보정한 표준점수를 활용하는 것이다.

백분위는 영역·과목별 응시자 중에서 자신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이 얼마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점수다.

단 0∼100점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동점자가 많아 표준점수에 비해 우수 학생 변별력이 떨어진다.

등급은 영역·과목별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수험생을 1∼9등급으로 구분해 표시하는 방식이다. 등급은 수능 최저학력기준으로 가장 많이 쓰인다.

장현정기자 hyun@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