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지역이 5,000억~1조원대 ‘AI(인공지능) 대전환’ 국책사업에서 사실상 제외되면서 AI 출발선에서부터 밀리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회에서 이를 바로잡기 위한 막판 예산 확보전이 펼쳐지고 있다.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강원 지역 ‘AI 대전환’을 위한 예산은 한 푼도 편성되지 않았다. 광주·대구·전북·경남 등 이미 선도지구로 지정된 지역에만 예산이 배정됐고, 강원과 충남은 완전히 제외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2026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AI 시대에는 하루가 늦으면 한 세대가 뒤처진다”면서 지역 특화 산업과 연계한 거점 조성 의지를 밝힌 바 있는 만큼 일각에서는 지역 홀대론까지 제기된다.
물론 정부 예산안에 AI 관련 강원 예산이 아예 반영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디지털헬스케어 기반 AI 융합혁신센터 등 'AI' 이름이 달린 예산은 일부 반영돼 있다. 다만 과기부 주도로 AI 대전환을 위해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지역 특화 사업에선 강원과 충남이 완전히 소외됐다. 앞서 예결특위 위원인 더불어민주당 송기헌(원주을) 의원과 국민의힘 한기호(춘천-철원-화천-양구을) 의원도 종합정책질의 과정에서 정부에 이 내용을 질타한 바 있다.
이와 함께 AI 사업 발굴에 강원도가 늦은 감이 있어 마스터플랜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함께 나온다. 특화 산업에 AI를 접목해 지역 특화 산업으로 고도화했어야 하는데, 정부의 빠른 추진 속도와 발을 맞추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지역별 특화산업을 고려해 마스터플랜을 짜기 위해선 사업기획비가 필요하지만 현재 기재부에서는 반영이 어렵다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남은 예산 심의 기간 사업기획비 반영이 지역 특화 산업을 고도화하는 데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예결특위 예산소위에서 활동중인 송기헌 의원과 충남 지역구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 의원은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송기헌 의원은 “강원과 충청은 인구소멸의 대표 지역으로 꼽히는데, 정부 예산에서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은 예산 편성 취지와 맞지 않다”며 “특히 원주가 의료 AX 산업의 최적지로서 충분한 기반을 갖춘 만큼 강점을 살려 나가기 위한 사업기획비 반영부터 필요하다”고 했다.
박수현 의원은 “강원과 충청이 AI 대전환의 출발선에서 밀려날 수는 없다”며 “사업기획비 10억원은 단순한 소규모 예산이 아니라, 타 지역 사례처럼 최소 5,000억~1조 원대 본사업으로 이어질 종합 로드맵 설계비로 보고 예산 심의 막판까지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