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이재명 정부의 대북 화해 제스처를 평가 절하하며 "마주 앉을 일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정부는 북한의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평화정착 노력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28일 발표한 담화에서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다"면서 "한국과 마주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북한의 첫 반응이다. 김여정 부부장은 이를 '공식입장'이라고 못박았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의중이 들어있다는 의미다.
대북방송 중단에 대해서도 "스스로 초래한 문제거리들"에 대한 조처일 뿐, "평가받을 만한 일이 못 된다"고 지적했다.
오는 10월 말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초청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헛된 망상"이라고 일축했다.
김 부부장은 특히 이재명 정부가 "한미동맹에 대한 맹신과 우리와의 대결기도는 선임자와 조금도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남쪽 국경너머에서는 침략적 성격의 대규모합동군사연습의 련속적인 강행으로 초연이 걷힐 날이 없을 것"이며 한미는 정세악화의 책임을 북한에 전가하려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북한의 대화 거부 반응에 낙담하지 않고 관계 개선 노력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대통령실은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인 평화 정착은 이재명 정부의 확고한 철학"이라며 "정부는 적대와 전쟁 없는 한반도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일관되게 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도 "평화적 분위기 속에서 남북한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임명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지난 몇 년간의 적대적 정책으로 남북 간 불신의 벽이 높은 만큼 평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