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는 올해 제1회 추경예산안을 당초예산보다 3,640억원 증가한 8조1,698억원으로 편성, 28일 도의회에 제출한다.
이는 당초예산 7조8,059억원 보다 4.7% 증가한 규모이며 2021년 이후 처음으로 지방채 1,900억원을 발행했다.
도세 주요 세입원인 취득세는 2021년 7,306억원이었으나 부동산 거래 둔화 등으로 2025년 현재는 5,795억원으로 감소, 보통교부세도 2021년 1조 1,171억 원이었으나 올해 현재 1조 767억원에 머물고 있다. 추경의 주요재원인 순세계잉여금도 전년 대비 1,000억원 이상 감소해 민생안정과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불가피하게 지방채를 발행했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이번 추경안은 민생 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에 중점 투자(2,445억원)했고 첨단산업 등 미래투자에 286억원 및 법정 필수사업 등에 517억원을 편성했다.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의 성장 기반이 될 SOC 분야에는 929억원을 증액했다.
도로 인프라 개선에 517억원, 홍수예방과 친수 공간 조성을 위한 지방하천 정비에 196억원, 도 신청사 건립기금에 123억원을 투자해 지역 건설업체 수주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농산어촌의 경제 활력과 주민소득 안정 분야에는 652억원을 편성했다.
지역 경기 활성화를 위한 관광 분야에는 114억원이 투입된다. 특히 강원방문의 해 사업(해외관광객유치 활성화, 홍보마케팅, 관광사업체 지원)에 15억원이 투입돼 2025년 연간 관광객 2억 명 유치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희열 기획조정실장은 “민선8기 출범 이후 채무관리 등 재정개선 노력을 많이 기울였고 가시적인 성과도 있었지만 경기침체가 지속됨에 따라 민생 경제와 미래 성장동력을 위해 불가피하게 지방채를 발행하게 되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