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을 거치며 황폐해진 강원도의 산림은 이제 세계가 주목하는 울창한 숲으로 거듭났다. 수십 년간 포기하지 않고 이어간 정책, 공동체의 노력, 그리고 희망의 나무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전 세계가 인정하는 한국 산림녹화 성공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한 강원도의 70년 역사를 돌아본다.
■"화전에서 숲으로…강원 산림 복구의 전환점"=정부는 1949년 식목일을 지정해 나무심기 운동을 장려했지만, 땔감 부족과 생계 문제로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려웠다. 특히 1950년 6·25전쟁 이후, 전쟁 복구를 위한 연료와 목재 수요가 급증하면서 산림 파괴는 더욱 가속화됐다. 주민들은 생존을 위해 마지막 남은 나무들까지 베어야 했고, 황폐한 산은 끝없이 무너져 내렸다. 이런 악순환을 끊기 위해 정부는 1960년대 들어 본격적인 산림녹화 정책을 추진했다. 1967년 산림청이 설립된 이후, 강원도는 선도적으로 산림 복구에 나섰다. 그중에서도 '화전 정리사업'은 획기적인 전환점이 됐다. 전 지역의 화전을 정리하고, 나무를 심는 한편 화전을 떠난 주민들의 정착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단순한 산림 복구를 넘어 생활 기반까지 회복하는 성과를 거뒀다.
■"1970~80년대, 녹화정책의 뿌리를 내리다"=1970년대에는 산림녹화가 보다 체계적으로 이뤄졌다. 새마을운동과 연계해 마을 공동체가 자발적으로 참여했고, 강원도는 ‘공무원 복지조림 사업’을 통해 공직자들이 앞장서 나무를 심고 관리하는 문화를 정착시켰다. 공무원들의 솔선수범은 지역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고, 주민들 역시 숲 가꾸기에 동참하게 됐다. 1980년대 이후에는 경제림과 환경림을 구분한 전문적인 산림 관리가 도입됐다. 주민들은 밤나무, 잣나무 등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수종을 선택해 심었고, 이는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졌다.
■"주민과 함께 만든 숲, 유네스코에 닿다"=강원일보는 1970~80년대 자체적으로 나무심기운동을 벌이다 1999년부터 강원특별자치도와 함께 ‘희망의 나무 나눠주기’ 캠페인을 매년 펼치며 주민 참여형 산림녹화 운동을 이끌어왔다. 2015년부터는 ‘내 나무 갖기’ 운동을 통해 민관 협력 모델을 정착시켰고, 복원된 숲은 관광자원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이 같은 노력은 산림녹화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로 이어지며 국제적 성과의 밑거름이 됐다. 앞서 강원일보는 2023년 5월 국토녹화 50주년을 맞아 강원도를 비롯한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산림녹화의 역사를 담은 ‘산림녹화기록물’이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 한국위원회의 심의를 조건부 가결로 통과한 사실을 최초 보도하며 전국적인 관심을 이끌어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