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美국무부 '현재 바이든의 한국 측 대화 상대 누구냐' 질문에 "윤석열이 한국 대통령" 답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국무부, 계엄 이은 탄핵국면 언급…"이견, 법에따라 평화적 해결"
"한국의 민주적 회복력 기대 …모든 당사자와 소통선 열어둘 것"
"한미동맹 철통…한반도 평화와 안보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미국 국무부 전경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 이후 탄핵소추안 폐기까지 정국이 급박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미 국무부는 9일(현지시간) 한국 상황에 대해 "정치적 이견이 법치주의에 따라 평화적으로 해결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매슈 밀러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 시련과 불확실성의 시기에 우리가 보길 원하고, 지난 며칠간 기쁘게 목도한 것은 한국의 민주적 회복력"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밀러 대변인은 이어 "법적 절차와 정치적 절차는 법치주의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밀러 대변인은 한국 내 정치적 혼돈 상황이 한미 간 외교 협의에 미칠 영향을 질문받자 "한미동맹은 여전히 철통같다"면서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답했다.

드러면서 "우리는 한국인들과 함께하고 있다"며 "우리는 한국의 모든 관련 당사자와 소통의 선을 열어둘 것"이라고 덧붙였다.

밀러 대변인은 조 바이든 대통령의 한국 측 대화 상대가 현재 누구냐는 질문에 "윤(석열) 대통령이 한국의 대통령"이라며 "한국 내 정치적 절차는 당연히 한국의 법률과 헌법하에서 전개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현재는 한미 정상간의 소통 계획에 대해 언급할 것이 없다면서 "그것은 백악관이 할 일"이라고 말했다.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미일 북핵 고위급 협의[주일 한국대사관 제공.]

한편, 비상계엄 '후폭풍'으로 혼란스러운 국내 정치 상황에서 한미일 3국이 9일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여 북한 핵 문제를 논의하고 공조 의지를 다졌다.

외교부에 따르면 조구래 외교부 외교전략정보본부장은 이날 일본 도쿄에서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나마즈 히로유키 일본 북핵대표와 한미일 북핵 고위급 협의를 했다.

3국 대표는 어느 때보다도 3국 간 대북 공조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최근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에 대한 평가를 공유했다.

이들은 북한의 계속되는 위협과 도발이 한반도의 역내 평화·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며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도 유의해 빈틈없는 공조를 바탕으로 향후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되, 도발 시에는 단호히 대응하기로 했다.

3국 대표는 북한 비핵화 달성을 위한 관련 동향 공유 및 전략 공조 강화 의지를 재확인하고, 북한이 도발과 대결적 언행을 중단하고 한미일의 조건 없는 대화 제의에 호응할 것을 촉구했다.

또 북러 간 불법적 군사협력이 유럽뿐 아니라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해 국제사회의 단호하고 단합된 대응을 계속 이끌어 나가기로 했다.

3국 대표는 북한의 도발 저지 및 대화 복귀 노력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중국의 건설적 역할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중국과 관련 소통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