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의사 수 전국 최하위, 의료 인프라 구축 시급하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전국에서 의사가 가장 없는 지자체 5곳이 모두 강원지역이다. 지역 간 의료 인력 격차를 줄이고 균형 잡힌 의료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 김선민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시군구별 활동의사인력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인구 1,000명당 활동 의사가 가장 적은 곳은 강원도 고성(0.957명)으로 전국 평균(3.2명)의 3분의 1 수준이다. 고성을 포함한 하위 5개 지역도 양양(0.978명), 인제(1.1명), 정선·횡성(각각 1.3명)으로 모두 도내 군지역이다. 이마저도 치과의사와 한의사를 제외하면 고성은 인구 1,000명당 단 0.3명, 양양과 인제는 0.4명, 횡성 0.6명, 정선은 0.7명에 불과하다. 의사들이 수도권 병원에 비해 생활 여건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방 의료원 등을 외면하는 현상이 고착화되다 보니 의사 한 명이 두세 사람 몫을 떠맡게 되고, 있던 의사마저 오래 버티지 못하고 떠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의미다.

‘응급실 뺑뺑이’ 등 의료 대란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더욱 열악한 상황이다. 태백, 횡성, 정선, 양구, 인제, 고성, 양양 등 7개 시·군의 경우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성과 양양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도 ‘0’명이었다. 응급의료 접근성 문제는 강원지방통계지청의 ‘2023년 강원지역 생활SOC 접근성 분석’만 살펴봐도 알 수 있다. 도민의 79.5%만이 30분 이내에 응급의료시설에 다다를 수 있다. 이는 17개 시·도 중 제주도에 이어 가장 낮은 것으로 필수의료를 담당하는 의료기관들의 응급실 운영·유지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지역 주민들은 생명의 위협을 심각하게 느낄 수밖에 없다. 의료 인력을 확보하고 응급의료센터의 수를 늘려 긴급한 의료 상황에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지역 간 의료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도 서둘러야 한다. 농촌지역 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이동식 의료 서비스 지원, 원격의료 도입 등 다양한 방안을 놓고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 농촌지역 주민에게 보다 나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보건소와 협력,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예방 의료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도내 대부분 지자체가 인구 소멸 위험 지역이다. 응급의료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세우지 않는다면 지역 인구도 증가할 수 없다. 필수의료 인프라부터 갖춰야 인구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