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강원포럼]동해신항 건설 기업유치 연계돼야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김기하 강원자치도의원

정부의 제2차 신항만건설 기본계획과 제4차 전국무역항 기본계획에 따라 총 7선석 규모의 동해신항이 건설된다. 동해항의 체선율을 개선하고 국가기간산업인 원자재 지원을 담당하는 동북아 중심 허브항으로 육성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에 의해 추진되는 동해신항은 13번 선석이 재정사업으로, 47번 선석이 민자사업으로 추진된다. 이 신항의 1번 부두에 석탄부두와 관리부두 등 계류시설과 항만 외곽시설 등을 추진하는 사업이 2025년 하반기 착공, 2027년 준공을 목표로 우선 진행되고 있다.

석탄부두 건설 주민설명회 역시 부실한 준비에 대한 주민 반발로 인해 한 차례 무산을 겪은 후 지난 7월 19일에야 다시 열 수 있었다. 필자도 참석한 이 설명회에서 석탄부두 건설 과정은 물론이고 이후 운영과 관련한 주민들의 많은 의견이 나왔다. 주민들의 의견은 건설 과정 및 준공 후 부두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여러 부분에 걸쳐 있다. 우선 석탄부두의 건설로 인한 대기질과 소음 등의 영향, 하역과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과 소음에 대한 대책, 발파공사에 의한 인근 추암 촛대바위의 진동 피해 가능성 조사가 미흡한 점 등이 지적됐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될 주변 어민들은 공사 전후 화물선 입출항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폐수 문제와 묵호항으로 입출항을 변경하는데 따른 피해 보상에 대한 검토 여부를 질문했다.

설명회에는 동해지방해양수산청장이 직접 참석했고 석탄부두 건설공사 시작 후는 물론 석탄부두 운영 시 별도의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해 주민의 우려 사항을 해소해 나가겠다는 답변을 내놨다. 설명회에 참석한 필자 또한 주민들과 함께 석탄부두 건설을 포함한 동해신항 추진 계획에 대한 몇 가지 의견을 전달했다.

우선 환경영향에 대한 주민의 우려가 해소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동해 묵호항은 전국 항만 중 주거지와 가장 근접한 항구다. 이로 인해 지난 40년간 주민들은 큰 피해를 감수해야만 했다. 새로 건설되는 부두에는 벌크 화물의 분진 비산을 저감하기 위한 돔 형태 시설을 비롯해 화물이 거주지역을 피해 운송될 수 있도록 배후 외곽도로가 적시에 개통돼야 한다.

동해시민들이 신항에 갖는 기대는 무엇보다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여다. 신항에는 석탄부두 외에 수소 전용 항만 지정 등으로 고부가가치 화물 취급과 관련 기업 유치가 이뤄져야 한다. 동해해양경찰청이 운영하는 함정의 수리창도 이 기회에 확보된다면 일자리 창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항만 주변의 친수환경 조성 또한 중요하다. 주민에게 개방적이고 접근이 용이한 친수공간이 확보되면 주변의 관광지와 연계한 해양 레저 관광 개발 추진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동해시는 자유무역지역을 갖춘 항만과 배후단지를 조성해 북방경제를 주도하는 환동해권 산업물류 중심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건설되는 신항을 본항의 구조적이고 환경적인 문제점이 해소된 지역의 신성장 거점으로 조성해 나가야 한다.

앞으로 석탄부두를 포함한 신항 건설과 관련된 사업 설명회가 수차례 더 열릴 것이다. 동해시민과 지역 정치권은 물론이고 사업을 주관하는 동해지방해양수산청이 머리를 맞대고 신항이 지역 환경에 부합하는 새로운 지역 발전의 계기가 되도록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파리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