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이소담‘어느 노인의 고백(한글)’
▼최우수창작상=△이문종‘고봉 선생 시-고와(高臥)(한문)’ △조동순 ‘홍매(문인화)’
▼우수창작상=△김준기‘매월당 김시습 선생시-大嶺(한문)’ △이경용’종산 선생 시-강릉 경포대 현판(鐘山 先生 詩-江陵 鏡浦臺 懸板)(한문)’ △정현순‘금강별곡 중에서(한글)’ △전명숙‘목련(문인화)’
■서예
▼특선=△이의택‘남계서원(함양)藍溪書院(咸陽)-퇴계 선생 시’ △조범근‘교산선생 시’ △김종보‘허난 설헌 시’ △김영심 ‘구봉선생 시(청효) △남진배 ‘쌍명제 선생 시’ △김남수‘정법조의 시 섬강’ △김은숙‘부국-율곡선생 시’ △김종일‘상건선생시 파산사후선원’ △신동우‘양촌 선생 시-개주역에 자면서<宿盖州驛>’ △조규춘‘익제 선생시<율곡의 인가>’ △최용일‘익제선생 처용’ △권정아‘매월당 선생시’ △위호진‘매월당 선생시’ △이종우‘회담선생의 산거시’ △정호반‘荷谷 선생시-寫懷’ △주정‘허혼 시(許渾 詩)’ △이광우‘고은 최치원 선생시’
▼입선
△윤경희‘전당호춘행(錢塘湖春行)-전당호 봄나들이, 백거이’ △김재중‘간재 진여의(簡齋 陳與義) 선생 시 <양읍 가는 길>’ △신길섭‘富平客館(하곡선생시)’ △우승희‘율곡선생시 종국’ △장미나‘억최가운-옥봉선생 시(憶崔嘉運-玉峰先生 詩)’ △김해진‘양촌 선생시 일수’ △김현아‘梅湖 선생 詩’ △박선규‘추야우(秋夜雨)-가을밤비’ △박종철‘운곡선생시’ △윤지환‘운곡선생시’ △이성근‘매월당 선생 방언시’ △이윤열‘운곡선생시 일수’ △최상숙‘익제 이제현 <용야심춘>’ △함명식‘고운선생시’ △황윤성‘송인’ △김종일‘다산 선생시(대우시규전)’ △우영미‘매월당 선생시’ △김영심‘매월당 선생시 유객’ △김태수‘다산선생시 춘운’ △백민정‘상촌선생시’ △홍귀남‘왕유시’ △권기욱‘천자문구’ △김미래‘천자문구’ △김은숙‘객로춘풍발흥관- 정몽주 시’ △안명복‘장한가중’ △윤경희‘찬보자비(爨寶子碑) 임서’ △이상은‘ 한거’ △이정찬‘춘일우성(春日偶成)’ △이형호‘탐진촌요’ △조영기‘만해 한용운 선생시 가을밤비’ △지형철‘백거이선생시 일수’ △하경원‘신흠선생 상촌집(공강정) △권혁무‘율곡선생 시 <浩然亭酒席>’ △신정연‘두보 선생 시-대우서회주요허주부(對雨書懷走邀許主簿)’ △이건호‘교산 허균의시’ △전용수‘김시습 선생시 연방(蓮房)’ △조영기‘금석 박준원 선생시 ‘백악에 오르다’’ △강석문‘도산의 매화를 찾은 시에’ △김기송‘五月端午’ △김기찬‘운곡선생시’ △김명섭‘인빈선생 시 <우야유회(雨夜有懷)>’ △김희남‘옥구현차판운(沃溝縣次板韻)’ △박상율‘홀로 있는 밤(獨夜 2수)’ △송봉환‘소동파 시-동란이화(東欄梨花)’ △주영환‘蛟山선생 詩’ △심순옥‘도법자연(道法自然)-음각 화광동진(和光同塵)-양각’
■한글
▼특선
△이보미‘김소월-옛 이야기’ △안명옥‘성경말씀 중에서’ △윤순희‘윤동주 시’ △이복란‘관동별곡 중에서’ △지순용‘비목’ △권미선‘취몽록 중에서’ △김철순‘장석길의 시-사월의 신부’ △이향심‘어머니(이희승)’ △강금숙‘법정스님 글’ △김옥금‘도종환-흔들리며 피는 꽃’ △김지영‘소우인의 매호별곡에서’ △민경숙‘ 사랑도 나무처럼’ △안지연‘관동별곡 중’ △임정희‘운곡선생시’
▼입선
△안명옥‘정지용의 시향수’ △김교정‘운곡행록 권1’ △박경옥‘한용운님의 포도주’ △박광옥‘만해선생시’ △손만식‘이은상님천지송’ △송규영‘운곡행록 중에서’ △오영희‘김영랑내 마음 아실이’ △유순희‘김영랑내 마음 아실이’ △이상미‘채근담구 △이용택‘성경시편 23편’ △이종우‘이해인사월의 시’ △김지영‘이용악의 시 중에서’ △권미선‘대숲에 서서(신석정 시)’ △김해선‘우리의 아침(문익환 시)’ △박정용‘노자영님의 시버들피리’ △서은경‘채근담’ △심정은‘주기도문(새번역)’ △이복란‘가을의 기도’ △이재분‘씨를 뿌리는 마음’ △이현주‘농가월령가 머리노래 중에서’ △김신자‘만분가 중’ △김용호‘이해인의 시풀꽃의 노래’ △김태수‘이해인의 시너에게 띄우는 글’ △박순원‘진주’ △이정자‘박성룡동행’ △지영희‘한용운님의 시’ △홍규리‘깊은 밤을 날아서’
■ 캘리
▼특선
△권정아‘윤동주별헤는 밤’ △김서정‘광야’ △박난희‘정호승수선화에게’
▼입선
△김태은‘나태주동백’ △박난희‘주요한샘물이 혼자서’ △박수미‘그리운 사람’ △손원숙‘도종환의 시흔들리며 피는 꽃’ △심순옥‘비(飛 : 날다)’ △이서하‘박혁남선생시그런 사랑이기를’
■문인화
▼특선
△권정아‘묵매’ △김남진‘국화(석국)’ △김실근‘산추국엽향(山秋菊葉香)’ △김정희‘연꽃’ △문용기‘죽-노래하다’ △서은선‘늘 푸른 소나무’ △원영희‘그윽한 매화향기’ △이민희‘비파’ △최영순‘청매’ △홍계남‘묵연’
▼입선
△김남진‘포도’ △김실근‘공곡가인포유정(空谷佳人抱幽貞)’ △김정희‘소나무 와 학’ △김현아‘난초’ △김현아‘대나무’ △문용기‘죽-대숲에서’ △박은자‘국화’ △선주연‘홍매’ △이민희‘묵포도’ △이혜자‘대나무의 절개’ △전명숙‘국화’ △차인철‘소나무’ △최선욱‘국화’ △최선욱‘해바라기’ △최영순‘자목련’ △최원근‘목련’ △홍계남‘묵국화’ △홍종원‘묵국’ △홍종원‘묵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