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우리나라 일자리가 87만개 늘어난 가운데 노인 일자리가 44만개로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반면 청년 일자리는 1% 수준인 1만개 증가하는 데 그쳤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일자리는 2,645만개로 지난해 87만개(3.4%)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 일자리가 44만개 늘어 최다 증가폭을 보였다. 이어 50대(26만개), 40대(10만개), 30대(5만개) 등 순으로 증가했다.
반면 20대 이하 일자리는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1만개 늘어나 전 연령대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낮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돌봄 수요 증가로 60세 이상이 많이 분포하는 보건·사회복지업에서 최근 일자리 증가세가 뚜렷하다"고 설명했다.
전체 일자리 2,645만개 중 점유 비중은 50대가 24.0%(635만개)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40대를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 일자리 평균연령이 높아지는 등 인구 고령화의 영향이다. 이어 40대 23.8%(631만개), 30대 20.0%(528만개)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