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연휴 기간 국내여행 계획률이 해외여행 계획률을 4배 웃돈 것으로 조사됐다. 강원특별자치도 내 관광업계는 국내관광 수요 집중에 따른 특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20일 발표한 '주례 여행행태 계획조사'에 따르면 추석연휴 기간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는 응답은 국내 16%, 해외 4%로 나타났다. 국내·해외여행 모두 코로나19 발생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최근 7년 간 추이를 살펴보면, 국내여행 계획률은 연휴기간이 10일이었던 2017년 28%로 가장 높았다. 이후 2018년~2021년 10% 안팎에 머물다 올해 급상승해 16%가 됐다. 해외여행 계획률 역시 연휴가 길었던 2017년 8%까지 치솟았다가 2018~2019년 4%, 코로나19 시기 1%선까지 하락했으나 올해 다시 4% 선을 회복했다.
올해 추석연휴 여행계획률이 높아진 것은 정부가 10월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며 4일간의 연휴가 6일로 연장된 영향이 크다. 특히 전문가들은 올해 추석의 경우, 해외여행보다 국내여행 활성화 효과가 더 클 것으로 보고 있다. 해외여행 계획률이 코로나19 직전 수준을 회복하는 데 그친 반면, 국내여행 계획률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크게 넘어섰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도내 관광업계는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연휴기간 국내여행 수요가 확인된 만큼, 강원도를 찾는 관광객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 국내 숙박여행 예정지역을 묻는 조사에서 도는 25.7% 비중으로 전국 16개 시·도 중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강원도관광협회 관계자는 "이미 주요 숙박업소들은 예약자가 몰려 만실을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관광객 증대에 따른 매출활성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