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가 지역의 대학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선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지역 대학은 지역 발전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어 기대를 갖게 한다. 지역 성장의 획기적 전기가 되기 때문이다. 그동안 강원도의 지역 대학 지원 사업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번 도의 조치가 이를 불식시키는 계기가 돼야 한다. 우선 강원도는 2024년 1월까지 대학 업무를 담당하는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1조8,000억원을 집중 투자하기로 했다. 신설되는 부서는 경제부지사 직속으로 편성되며, 대학지원정책관 설치와 함께 5개 팀 22명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또 교육부가 현재 추진 중인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과 관련, 강원인재육성평생교육진흥원을 ‘라이즈(RISE)센터’로 지정하기로 했다. 도가 구상하고 있는 지역 대학에 대한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면 강원도가 경쟁력을 갖춰 전국의 시·도와 대등한 위치로 수평적 관계를 지향한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다. 따라서 강원도의 지역 대학 발전 계획의 취지나 동기에 대해 근본적으로 반대할 이유가 없다. 오히려 차질 없이 진행돼야 한다. 문제는 예산을 어떻게 조달해 나갈 것인지가 중요하다. 이에 대한 후속 조치가 마련돼야 한다.
웬만한 의욕과 구상만으로 지역의 대학이 발전되는 것이 아니다. 의욕에 앞선 치밀하지 못한 지역 대학 육성 계획은 더더욱 안 된다. 지역 대학의 육성은 그 복잡성으로 인해 장기적인 비전을 갖고 시작해야 한다. 국비 지원을 요청하겠다는 식의 통상적이고 원론적인 방법으로는 성공을 담보할 수 없다. 국비 확보에 실패한다면 지역 대학들의 기대감을 한껏 부풀려 놓은 상태에서 실망감과 허탈감만 가중시킬 뿐이다. 이는 당연히 지역 대학을 의식한 전시행정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온다. 이와 더불어 지역 대학도 변해야 한다. 지역 대학이 소멸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이 쏟아지고 있기에 더욱 그렇다. 올 들어 정원을 채우지 못해 학생 추가 모집에 나선 대학이 180곳에 달했다. 추가 모집 인원 상위대학 50곳 중 49곳이 지역의 대학이었다.
지역의 대학은 총체적 위기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즉, 수도권 집중화에 따라 지역 대학이 생존 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것은 어제오늘의 얘기는 아니다. 인구 감소는 비단 대학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강원도의 경우 18개 시·군 중 15개 지역이 인구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이제는 지역 대학의 생존을 넘어 넓은 시야로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고, 세계 대학과 경쟁하기 위해 해외 인적 자원을 전략적으로 받아들이고 양성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고민할 때가 됐다.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는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한 입학 자원의 확보에도 해답이 될 수 있으며, 지역에도 새로운 성장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치밀하게 구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