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학생 운동 선수들의 ‘출석인정 결석 허용일수’(이하 출석인정일수)를 올해부터 대폭 확대하기로 하면서 강원도체육계가 환영의 뜻을 밝히고 있다.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19일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로 ‘스포츠혁신위원회’ 권고안을 재검토한 결과, 2023년부터 출석인정일수를 초등학교 20일, 중학교 35일, 고등학교 50일로 확대하고 학생 선수 맞춤형 학습지원 방안을 마련해 학생 선수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출석인정일수가 초등학교 15일, 중학교 23일, 고등학교 25일씩 더 많아진 셈이다.
그동안 체육계는 출석인정일수가 너무 적어 선수들의 대회 출전이 줄어 들고, 일부 선수들이 방송통신고로 진학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고 지적해 왔다. 이에 체육계는 출석인정일수를 수업일수의 3분의 1(63∼64일)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을 요구해 왔다. 요구 만큼은 아니지만 이번 개선안에서 체육계의 요구가 어느 정도 반영되면서 체육계는 환영하는 입장이다.
도체육계 관계자는 “학생들에게는 많은 대회를 나가는 것이 큰 경험이 된다”며 “이전보다 자유롭게 대회에 출전할 수 있게 된 만큼 체육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선 2기 체제를 앞둔 양희구 도체육회장의 정책 추진에도 힘이 될 전망이다. 그동안 양희구 회장은 무너져 가는 학교 운동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경호 도교육감과 다양한 방안을 마련 중이었다. 대회 출전 기회를 늘리는 방안도 고심 중이었는데 이번 개선안으로 해결이 됐다.
양희구 회장은 “교육감님께서도 학생들의 대회 출전 기회가 늘어나길 바라셨는데 출석인정일수가 늘어 다행”이라며 “이번 결정이 최근 국제무대에서 고전 중인 우리나라 체육계 부활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환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