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경선에서 최종 승리한 윤석열 후보는 강원도에 ‘강원특별자치도’설치를 약속했다.
윤 후보는 지난달 말 강원일보와 진행한 서면 인터뷰에서 “글로벌 시대 경쟁력을 갖춘 강원도를 만들기 위해 경제중심의 ‘강원 특별자치도’를 설치하겠다”며 “여당 주도의 평화특별자치도는 북한과의 교류·협력에 편중돼 실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관광을 중심으로 강원도가 핵심 전략산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바이오, 액화수소를 집중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오랫동안 강원도를 위해 고민해 왔다는 점도 강조했다. 윤 후보는 “약 25년 전 검사 생활할 때 강릉지청을 지원해 근무하면서 강원도가 어떻게 하면 스위스처럼 발전할 수 있을까 고민했다. 스위스는 수려한 자연 관광자원 뿐 아니라 산지 곳곳에 첨단과학기술연구소 같은 시설이 있다. 강원도에서 평창올림픽을 개최했는데, 그렇게 시설 투자해 올림픽을 했으면 ‘포스트 평창‘이 있어야 했는데 아쉬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 강원도는 무한한 성장 잠재력을 가진 곳”이라며 “포화 상태인 수도권을 대신할 미래 산업기지이자 환동해시대를 선도할 중심지로서 강원도의 미래가 곧 대한민국의 미래가 될 것”이라고 했다 .
최대 과제로는 불합리한 규제 개선을 꼽았다. 윤 후보는 “불합리한 규제가 강원도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며 “환경 규제와 군사, 접경지역 등 규제의 중첩으로 지역 발전이 낙후됐다. 규제로 인해 케이블카 하나 설치를 못하는 것이 강원도의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불필요한 규제는 과감하게 풀겠다. 접경지역은 규제를 완화하고 안보와 지역 발전이 양립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신(新)접경지역 종합계획’을 통해 접경지역 발전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삼척~영월 고속도로 조기 착공, 동해선 고속화, 용문~홍천 철도 등 SOC 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고, 폐광지역 경제발전을 위한 대체산업 육성도 적극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남북관계 개선과 남북교류는 강원도에 중요한 문제”라며 “판문점에 남·북·미 연락사무소를 설치해 3자간 대화 채널을 상설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따라 경제협력사업을 단계별로 추진하고, 완전한 비핵화 이후에는 남북 공동경제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진행하겠다”고 했다.
윤 후보는 “역대 대선에서 강원도에 대한 여러 공약이 있었지만, 흐지부지된 경우가 많았다. 더 이상 실망하지 않도록 약속드린 공약은 반드시 지키겠다”고 했다.
서울=원선영기자 haru@